리눅스 (6) - 디렉터리 , 파일 관련 명령어

haeIT·2024년 10월 29일
1

Linux

목록 보기
6/9
post-thumbnail

1. 디렉터리, 파일

  • report, apple, data, orange는 디렉터리
  • 나머지는 파일임!

❗ 리눅스의 일반적인 디렉터리 구조

  • 맨 위에 (/)를 루트 디렉터리
  • 윈도우와 다른점은 디스크가 여러개여도 디렉터리 트리는 1개!(아래 사진 참고)

  • 마운트는 디스크의 디렉터리를 연결하는 것을 말함
  • 자세한 디렉터리 정보는 여기
  • 출처는 여기입니다.

2. 주요 디렉터리 역할

출처는 유강사님~!

/bin

  • 일반 사용자 및 관리자가 사용하는 명령어의 실행 파일이 배치되어 있는 디렉터리
  • /bin는 특히 시스템과 관련된 중요도가 높은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음

/dev

  • 디바이스 파일이 배치되어 있는 디렉터리
  • 디바이스 파일이란 디스크나 키보드 등 하드웨어를 다루기 위한 특수 파일

/etc

  • 리눅스에서 돌아가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일이 /etc 아래에 배치
  •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리눅스 자체의 설정 파일도 이곳에 있음
  • 리눅스를 운영하고 관리할 때 무척 중요한 디렉터리

/home

  • 사용자별로 할당되는 홈 디렉터리가 배치되는 디렉터리
  • 홈 디렉터리란 사용자별로 할당되는 개인용 디렉터리를 말함
  • 사용자 이름이 디렉터리 이름으로 사용
  •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이 ldk라면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는 /home/ldk가 됨
  • 사용자는 홈 디렉터리 안에서 자유롭게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작성해 작업할 수 있음

/sbin

  • /bin와 비슷하게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터리
    이 디렉터리에는 관리자용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음
  • 예를 들어 1장에서 소개한 시스템을 종료시키는 shutdown 명령어가 이 안에 있음

/usr

  •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 문서, 라이브러리 등이 이 디렉터리에 포함
  • /usr 아래에는 bin, sbin, etc 등이 있어 루트 디렉터리와 구조가 비슷함

/var

  • 변화하는(variable)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렉터리
  •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만들어진 데이터나 로그, 메일 등이 이곳에 저장
  • /var에는 많은 파일이 기록되므로 용량이 부족해질 수도 있으니 시스템을 관리할 때 주의해야 함

3.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1. 현재 디렉터리 확인

pwd

2. 디렉터리 이동

cd [이동하려는 디렉터리 명]
  • /usr 디렉터리로 이동

3. 다시 뒤로가기

cd
  • root 디렉터리로 다시 돌아감
  • 위 사진에서는 root -> /usr -> lib로 들어갔다가,
  • cd 명령어로 다시 root로 돌아옴

4. 디렉터리 만들기

mkdir [디렉터리 명]
ls -F
  • work라는 디렉터리를 만들고 ls -F라는 명령어로 확인!
  • 잘 만들어 졌는데 저거 색깔 파란색이라 하나도 안보이네;; 못바꾸나...

5. 파일 만들기

cd work
touch [생성할 파일 명]
ls
  • work 디렉터리로 이동후 newworkfile이라는 파일 생성
  • ls 명령어로 해당 경로에 있는 파일 확인
  • 잘 생성 되었군요~~!

6. 파일 삭제 하기

rm [삭제할 파일명]
ls
  • rm 명령어로 파일 삭제
  • ls 명령어로 삭제 됐는지 확인
  • bts에서 rm을 가장 좋아하는데요. 이 명령어는 확실히 외울 수 있을 것 같네요?!

7. 파일 여러개 만들고 삭제하기

touch file1 file2 file3
ls
rm file1 file2 file3
ls
  • 똑같은데 그냥 파일 이름 연달아 써주면 됨!

8. 디렉터리 삭제하기

cd
rmdir [삭제할 디렉터리 이름]
  • 먼저 삭제할 디렉터리에서 빠져나온 후
  • rmdir 명령어를 사용해서 디렉터리 삭제!
  • 후에 확인하기 위해 cd work로 다시 접근했으나
  • 이미 삭제되어 이동 불가~!

4. cat 관련 명령어

1. 기본 사용법

touch newfile
cat newfile
  • newfile이라는 파일 생성 후
  • cat명령어로 파일 내용을 읽어보려고 했으나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 왜? touch 명령어로 만들었기 때문에 파일이 비어 있음~!~!

2. 내용이 많은 파일 출력해보기

cat /etc/crontab
  • 내용이 왕창 출력

3. 행 번호도 출력하기

cat -n /etc/crontab
  • 2번이랑 똑같이 내용이 왕창 출력되지만 행번호가 함께 출력된다.

4. 파일지정하지 않고 내가 입력하는 내용 출력하기

cat
입력 내용
출력 내용
Ctrl + D
  • 빨간색은 내가 입력한 내용이고,
  • 노란색은 출력한 내용!
  • Ctrl + d 눌러주면 다시 돌아온다.

5. 파일 복사하기

cp [복사할 기존 파일명] [복사한 새로운 파일명]
  • 우선 file1이라는 파일을 하나 만들어주고
  • cp 명령어를 이용해서 file2에 file1을 복사해준다.
  • ls -F 명령어로 파일이 잘 생성됐는지 확인해보면?!!
  • 파일 두가지 다 잘 생성!

6. 파일 이동하기

mkdir mvtest
mv [옮길 파일명] 옮길 위치
  • 테스트용 디렉터리인 mvtest 생성
  • cd 명령어를 사용해서 root 디렉터리에 있는 file1 파일을 mvtest에 옮김!
  • mvtest 위치로 가서 ls 명령어로 파일 목록 보면!! file1이 잘 이동됨
  • 그럼 루트 폴더에서는 file1이 없어진걸까?
    정답!! 옮긴거니까 아예 없어진다~!

여기까지 unit 5 공부 완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