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7) - 퍼미션, sudo

haeIT·2024년 10월 30일
1

Linux

목록 보기
7/9

2024-10-30 WED

한글 명령어

LANG=ko_KR.UTF-8 cat --help
  • 이 코드를 출력하면 원래는 한글로 cat 명령어의 사용 방법이 나옴
  • 근데 나는 안나옴

🚩 해결방법

  1. 아래 코드 출력해보기
locale -a | grep ko_KR

  • 나처럼 아무것도 출력이 안되면 로케일 설치가 안된 것!
  1. 로케일 설치하기
sudo locale-gen ko_KR.UTF-8
sudo update-locale LANG=ko_KR.UTF-8

  1. 폰트 설정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fonts-noto-cjk
  • 컴퓨터에 내장된 폰트 사용해도 됩니다~!


  1. 터미널 종료후 다시 켜서 확인해보기

  • 그래도 영어로 나와서 gpt에 확인해보니....

  • cat은 영어로만 제공된다고 하네요?

  • 책에서는 된다고 나오던데....ㅜㅡㅜ

어쨌든 명령어 --help 를 사용하면 해당 명령어의 사용법을 알려준다고 합니다.


파일 소유자

🐧 1. 파일 소유자 확인

ls -l [확인하려는 파일]
  • bin 디렉터리 안에 들어있는 cat 명령어 파일의 권한, 크기, 소유자를 파악하는 코드

  • 결과는?

  • -rwxr-xr-x : 파일의 권한 (파일소유자/파일소유그룹/다른사용자), 정처기 그거 맞음

  • 1 : 하드링크 수, 파일에 연결된 링크가 하나임

  • root root : 첫번째 root는 파일소유자, 두번째root는 파일이 속한 그룹

  • 35288 : 파일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

  • 2월 8 2024 : 마지막 수정 날짜와 시간

  • /bin/cat : 파일의 경로를 나타냄

🤔하드링크?

=> 특정 파일이 가리키고 있는 데이터 블록에 연결된 하드 링크의 개수.
파일 이름

  • 서로 다른 파일 두개(f1과 f2)가 이름만 다르고 같은 내용을 공유하는 기술
  • 여기서 같은 파일 내용을 공유하는 파일 이름의 수를 하드링크라고 함.
  • 데이터 관리 굿
  • 백업 시스템에서 사용된다고 함.
  • 근데 수정은 동기화 가능, 삭제는 따로따로
  • 즉, f1삭제해도 f2는 삭제 안됨 (O)
  • f1 수정하면 f2도 수정됨 (O)
  • 친절한 gpt~!~!

🐧 2. 파일의 퍼미션

  • - : 파일의 타입, -는 일반파일, d는 디렉터리, l 은 심볼릭 링크
  • rwx : 소유자(root)의 권한, read(읽기), write(쓰기), execute(실행) 모두 허용
  • r-x : 소유자(root)그룹에 소속된 사용자, read, execute 허가/ write 금지
  • r-x : 기타 사용자 read, execute 허가/ write 금지
  • 만약 rwx------ 이면 소유자 외 아무도 볼 수 없게됨~!

🐧 3. 파일 모드 변경

ls -l hello.txt

  • 우선 'hello.txt' 파일의 소유자 확인!
  • 소유자 그룹(노란색 밑줄)의 쓰기 권한을 허가 해 보겠습니다?
chmod g+w hello.txt

  • 쓰기 권한이 생겼습니다~!
  • chmod 는 change mode라는 뜻
  • g+w 는 파일소유자그룹(g)에게 w(쓰기)권한을 +주겠다~ 라는 뜻입니다.
  • 기호는 아래표 참고!
기호의미
u소유자
g소유 그룹
o기타 사용자
augo 모두

* 만약 사용자 지정을 하지 않으면 디폴트 a로 간주

기호의미
+퍼미션 추가
-퍼미션 금지
=지정한 퍼미션과 같게함

🐧 4. 파일 모드 변경 더 간단 ver.

  • 퍼미션 수치

  • 8 진수로 나타내고 3번에서 기호 쓴것처럼 표기

chmod 755 hello.txt

-위 사진 처럼 바뀐 것을 볼 수 있음~!


슈퍼 사용자

🐧 1. 슈퍼 사용자 sudo

  • sudo 명령어 : 명령어를 다른 사용자가 되어 실행
  • 사용자 지정하지 않으면 슈퍼 사용자로 명령어 실행
  • 주로 일반 사용자로 로그인 한 뒤 슈퍼 사용자로만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함!
sudo [실행하고 싶은 명령어]

  • 위 사진에서는 /etc디렉터리 안의 shadow 파일을 확인한다는 명령어

  • 참고) shadow 파일은 계정의 암호와 관련된 정보임!

  • 지정한 명령어 끝나면 다시 일반사용자로 돌아옴

  • 하지만 su명령어는 sudo와 달리 exit를 해야 일반 사용자로 돌아옴

🐧 2. 슈퍼 사용자 su

su -

  • su - : 슈퍼 사용자 모드로 전환됨!

exit
  • exit를 해주면 일반사용자로 전환!

🐧 정리

  • 요즘은 su 보다 sudo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
  • su 처럼 계속 슈퍼사용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경우 파일 손상 가능성 있음

여기까지가 unit 10!
내일 unit 11부터 이어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