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8) - 문자교환, 삭제, 출력, 검색

haeIT·2024년 10월 31일
1

Linux

목록 보기
8/9

2024-10-31 THU

문자 교환하기

cat /etc/passwd | tr abc ABC
  • abc를 대문자 ABC로 각각 바꾼다
  • 우선 cat /etc/passwd 로 기존 내용을 확인해보고

  • 영어 a,b,c가 전부 소문자인 걸 볼 수 있다.
  • tr명령어 실행후에는?

  • 위 사진처럼 a,b,c에 한에서만 대문자로 바뀐 걸 볼 수 있다.

  • 반대로 cat /etc/passwd | tr ABC abc 를 실행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온 걸 볼 수 있다.

# 대시기호를 사용하면 한번에 여러 문자 지정도 가능~!

cat /etc/passwd | tr a-z A-Z
  • a부터 b를 A 부터 Z로 치환한다는 뜻

문자 삭제

tr -d [삭제할 문자]

  • 이건 실습하면 복잡해지니까 생략~!~!

문서 마지막 부분 출력하기

🐧 1. tail 명령어

tail /etc/passwd

  • tail 명령어를 사용하면 문서의 마지막 10줄이 출력된다.
  • 의심스러워서 직접 세어봤더니 진짜 10줄!!

🐧 2. 출력할 줄 수 지정하기

tail -n 1 /etc/passwd
  • 출력할 줄 수를 지정할 수도 있다~!


파일 비교하기

diff [비교할 파일1] [비교할 파일2]

  • 두 파일이 있을 때

  • diff 명령어를 사용하면 두 파일을 비교할 수 있음!

파일을 아래 처럼 변경한다면?

  • 두번째 파일의 첫번째 파일 부분이 삭제 되었다.

.

🐧 정리!!

기호내용
<범위 1>a<범위 2>첫 번째 파일의 '범위 1' 뒤에 두 번째 파일의 '범위 2'의 내용이 추가
<범위 1>c<범위 2>첫 번째 파일의 '범위 1' 부분이 두 번째 파일의 '범위 2'의 내용으로 변경
<범위 1>d<범위 2>첫 번째 파일의 '범위 1' 부분이 삭제

문자열 검색

1. grep 명령어

grep [검색할 문자열] [검색할 파일]

  • /etc/passwd 에서 haeit 단어를 검색해본 결과 한줄 있네염

  • bash도 검색해봤습니다.
  • grep 명령어는 굉장히 많이 사용되니까 꼭 기억해두기!

2. 정규표현식

  • grep에서 정규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음!
  • 정규표현식은 작은 따옴표로 안에 넣어준다
  • 정규표현식에서 사용되는 기호는 *, {, }, $ 등을 사용한다.

  • 이런 파일이 있을 때
grep 't.st' example.txt
  • 정규표현식을 이용해서 t에 이어 뒤에 st가 있는 문자열을 example.txt 파일에서 찾는다

  • t로 시작해서 뒤에 st가 있는 3줄이 출력된다~!

숫자, 하이픈 지정하기

grep 'mail[1-4]' example.txt

  • mail[1-4] 라고 하이픈으로 지정해주면 그 사이에 숫자가 전부 다 나온다
  • 영어도 가능! a-zA-z 이런식으로~!

여기까지 리눅스는 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