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kocw.net/home/cview.do?cid=e44bdd9b3a3f9bb5
강의 1강을 듣고, Computer Network : a Top-down approach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프로토콜은 메시지의 포맷, 메시지를 보내고 받는 순서, 메시지를 받았을 때 어떻게 해야하는 지를 정의한다.
access network에서 중요하게 따져봐야 할 것은?
전화회사에서 access network를 제공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data, voice 모두 DSL line을 통해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upstream bandwidth : 1Mbps, downstream bandwidth : 10Mbps로 그닥 빠르지 않다.
cable회사에서 access network를 제공하는 경우
HFC(hybrid fiber coax) : 케이블 회사에서 제공하는 access network를 칭하는 말.
host에서 cable headend까지는 coax로 연결되지만, headend끼리 연결될 때에는 더 큰 bandwidth가 필요해 fiber로 연결된다. 따라서 hiber link와 coax link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있다.
일반적으로 upstream bandwidth : 2Mbps, downstream bandwidth : 30Mbps지만 shared이므로 무조건 빠르진 않다.
일반적인 집의 모습을 사용해봤을 때, 하나의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기기를 함께 연결한다.
따라서 router를 통해 집에 있는 network 장비를 묶어준다.
이 router에 유무선으로 여러 host가 연결된다. 이후 router가 headend나 central office에 연결되면서 multiplexting과정을 거친다.
보통 회사에서 network를 구성해줄 때 router와 access point(무선연결장치)를 한 박스로 구성해주는 경우가 많다.
ethernet switch에 여러 개의 기기가 연결되어 있고, 이는 회사 전체를 묶는 router에 연결되어 있다. 이 router가 ISP의 router에 직접 연결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cable 회사 등이 필요한 home network와는 다르다)
기기가 직접 access point에 연결된다.
wireless Lans(wifi) : 건물 안과 같은 작은 범위에서 사용 가능. 대역폭이 높다.
wide-area wireless access(cellular) : 보다 넓은 범위에서 사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