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작업을 하던 중 다른 브랜치로 잠시 이동해야 할 경우, 아직 완료하지 않은 일을 commit 하지 않고 브랜치를 이동하는 방법이다.
> git stash
> git stash save
두 가지 중 하나를 하면 작업중이던 내용이 stash되고, 현재 작업 디렉터리는 깨끗해진다.
> git stash list
stash 된 목록을 불러오며, stash 이름을 확인 할 수 있다.
> git stash apply --index
index
옵션을 붙혀야 staged 상태로 불러온다.
여러 stash가 있는 경우, 특정 stash 를 불러온다.
> git stash apply [stash이름]
stash 이름은 git stash list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한다.
> git stash drop
> git stash drop [stash이름]
조회와 동시에 삭제하는 명령어
> git stash pop
Shift
두번 누르고 stash 검색
stash changes...
클릭
메세지 입력 후 create stash
stash 를 잘 사용하면, 깔끔한 git history를 유지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Shift
두번 누르고 stash 검색unstash changes...
클릭역시 intellij 는 git 사용이 너무 잘 되어있다 !
stash 를 잘 사용해서 깔끔한 git history를 해보아야지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