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프로젝트에 mongoDB를 사용하게 되었다. 강의 시간에는 주로 mariaDB를 다뤄서 NoSQL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생소하다... 특히 검색 API 만들 때, 혼란스러웠다. 아직 랭킹 API도 만들어야 하고 프론트에도 붙이려면 내가 작성한 코드 정도는 이해하고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DBinsert 3가지 방법 중에 마지막 방법인 LOAD DATA INFILE을 실습해 보려고 한다. 위 방식에서는 csv나 txt 같은 텍스트 기반 파일로 데이터를 로드 할 수 있지만 Binary 기반의 파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두 가지 파일
인덱스를 활용하여 쿼리 검색 속도 향상PK도 인덱싱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UNIQUE 옵션을 설정하면 인덱스가 자동으로 같이 생성되기 때문에 조회 성능 향상멀티 인덱스업로드중..
SQL 성능 튜닝이 필요한 이유와 튜닝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오늘은 실행 계획에 대해 알아보자. 실행 계획이란 SQL이 실행될 때 데이터베이스 옵티마이저가 테이블 접근 순서, 인덱스 사용 여부, 조인 방식 등을 결정한 실행 흐름을 의미한다. 실행 계획을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