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uth란? Oauth란 무엇인가? 흔히 타 사이트에서 보던 SNS로그인 이것들이 바로 Oauth 인증 프로토콜이다.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하자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SNS인증은 Oauth2.0 방식이다. (해당 화면은 사람인 로그인 페이지 화면으로 구글, 네이버,
## 작업계기 OAuth2.0기술에대해 이론을 정리하던 중 예전에 개발한 OAuth2.0을 활용한 SNS로그인 코드를 보게 되었고 기존코드는 FeignClient을 사용하여 엑세스 토큰 및 유저 정보를 불러오는 방식을 사용했다, 하지만 기존의 코드를 분석해보니 다음과
작성하게된 계기 갑자기 메모리에 대해 작성해서 당황할 수 있다, 하지만 메모리에 대해서는 정말 정리하고 싶은 내용이었고 또한 백엔드 개발자로써 메모리를 알아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어디인지는 정확히 모르나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의 메모리관리를 제대로 못하여 결국 메모리 overflow가 발생한 사례를 들었다. 이 사례만으로도 백엔드 개발자가 어째서 메모리에 대해 ...
예전에 JPA의 이론과 관련하여 글을 작성한 적이 있었다. 거기서 JPA의 특징 중의 하나가 2차 캐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2차 캐시를 사용하면 동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라고만 알았지 정확히 L2 캐시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째서 L2 캐시를 쓰면
말하자면 HTTP란 웹 환경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로 이미 지식은 알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본인이 잘알고 있다고 평소에 생각하고 있다면 다시한번 확인하여 본인이 정말로 잘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거친다, 그런의미에서 웹에서 가장 기본적인 지식중에 하나인
정규화(Normalization) 정규화라는 단어는 정보처리관련 자격증을 준비했거나 DB설계를 한번이라고 해봤다면 들어봤을 법한 이론이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테이블간에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정규화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DB용량을 줄일
데이터베이스 Key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ROW를 구분하는 유일한 식별자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키는 테이블에서 하나 이상의 열로 값은 유일하고 불변해야한다. 키는 데이터 정합성, 검색, 수정, 삭제등의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데이터 정합성 : 데이터가 올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