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velog.io/images/hamster/post/a45c7fb7-a6e4-4815-b3f7-711c2a2e545a/image.png)
장단점 편집기 제작 후기🙃
링크: https://pros-and-cons-editor.pages.dev/
왜 만들게 되었나?🤔
샤워를 하다가 갑자기 쓸모없고 뜬금없는 생각이 들었다.
장단점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장단점을 분석해본다면?
그래서 생각을 잠깐 해보니,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장단점에 대한 장단점
장점의 장점: 장점을 볼 수 있다
장점의 단점: 단점을 못 본다
단점의 장점: 단점을 볼 수 있다
단점의 단점: 장점을 못 본다
...
별거 없다 ㅋㅋㅋㅋ
그런데 문득 읽어보면, 어떤 각도로 보면, 뭔가 대단해 보일지도 모르겠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 장단점만 간단히 분석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볼까?😆
사실 진짜 장단점 분석을 해야하는 일이라면, 각잡고 엑셀 혹은 편집문서를 이용해, 다양한 소스에서 정보를 얻어 가치있는 정보를 생산해야 맞다.
이걸 굳이 모바일 서비스로 만든다고?
그야말로, 너무나도 쓸모없는 서비스!
![](https://velog.velcdn.com/images%2Fhamster%2Fpost%2F01784dda-be40-419d-a899-224da90cf62f%2Fimage.png)
하지만 그냥 만들면 재미없으니까, 하루안에 만들어 보기로 함. 타임어택이다아아아아아!!🤪
외부동기
내적동기만 있을 뿐 아니라, 작지만 소중한 외적동기도 있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2Fhamster%2Fpost%2F55e9f305-706a-4aa5-8636-9f849a605809%2Fimage.png)
아니 왜?
이런 쓸모없는 글에 하트를 누른다고? 진심이야?
무려 6명씩이나 나를 응원하다니!
...실망시키지 않겠어...! 두고봐!
결국 뭐든 만들어보면 다 경험이 되는거니까, 만들어보기로 했다.
배운 것, 경험한 것, 이득본 것
- tailwind css 에 대한 경험치 +1
- favicon 작업에 대한 경험치 +3
- prettier 설정방법에 대한 이해 +2
- TextArea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TextareaAutosize 라이브러리 사용경험 획득
- css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DOM을 통째로 이미지로 저장하는 html-to-image 라이브러리 사용경험 획득
- react에서 setState의 지연로딩으로, 예상과 다른 순서로 랜더링이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변경 될 객체와, 아직 변경되지 않은 객체가 동시에 존재하는 순간이 있는데, 이 때문에 UI가 예상과 다르게 랜더링 되는 버그를 해결하느라 총 개발시간의 33%를 사용
- 클라우드 플레어 배포 경험치 + 1
- 구글 어넬리틱스 계정 생성 및 기본 설정에 대한 능숙도 + 3
- 구글 어넬리틱스의 Typescript에서의 적용방법 획득 + 2
- 개발시 필요한 집중시간 파악
전체 과정을 녹화했는데, 녹화된 시간은 약 4.38시간. 녹화가 중간에 짤린것들을 포함하면, 집중시간은 약 5~6시간임을 확인
- 현 시점 나의 개발생산성 평가: 이정도 개발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1일 임을 확인 (쉬고 밥먹고 나머지 시간 집중시)
후기
- 디자인이 너무 아쉽다.
- 이번엔 서버와 통신하는 부분이 전혀 없었다. 다음 번엔 firebase라도 붙여볼까 싶다.
- typescript에서 ga4 적용하는 방법이, 일반 js에서 적용하는대로 하면 안된다는 걸, 적용 형태가 달라야 한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 약간의 소득이 된 것 같다.
- 공유하기 버튼을 못넣은게 아쉽다. 넣을까?..
- 찍은 영상을 유투브로 올리는 경험
- 영상을 편집하면서 내가 어떻게 개발하는지 쭉 볼 수 있었다.
- 프리미어 사용 경험치 + 1, 편집 경험치 + 1, 유투브 업로드 경험치 + 1
결과이미지
![](https://velog.velcdn.com/images%2Fhamster%2Fpost%2Ff7858f55-4e66-4c24-8c9d-2e5c3b26dce9%2Fimage.png)
링크: https://pros-and-cons-editor.pages.d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