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아키텍처의 주요 특징과 차이점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실제 구현 예시:
# 원시 데이터 수집
raw_data = spark.read.format("json").load("/raw/events")
raw_data.write.format("delta").save("/bronze/events")
# 데이터 정제 및 변환
cleaned_data = spark.read.format("delta").load("/bronze/events")
cleaned_data = cleaned_data.dropDuplicates()
.filter("event_type IS NOT NULL")
cleaned_data.write.format("delta").save("/silver/events")
# 분석용 데이터 준비
analytics_data = spark.read.format("delta").load("/silver/events")
daily_metrics = analytics_data.groupBy("date", "user_id")
.agg(count("*").alias("event_count"))
daily_metrics.write.format("delta").save("/gold/daily_metrics")
이러한 아키텍처를 통해 기업은 데이터의 수집부터 분석까지 효율적인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HDFS와 Hive의 조합과 데이터 레이크하우스의 주요 차이점:
ACID 트랜잭션 지원
-- Hive의 제한된 ACID 지원
CREATE TABLE sales (id INT, amount DECIMAL)
CLUSTERED BY (id) INTO 3 BUCKETS
STORED AS ORC
TBLPROPERTIES ('transactional'='true');
# Delta Lake의 완전한 ACID 트랜잭션 지원
deltaTable.update(
condition = "date > '2024-01-01'",
set = { "status": "processed" }
)
스키마 관리
-- 스키마 변경 시 테이블 재생성 필요
ALTER TABLE sales ADD COLUMNS (
new_column STRING
);
# 스키마 진화 자동 지원
df.write.format("delta").mode("append").save("/path/to/table")
데이터 버저닝
-- 버저닝 기능 없음, 수동으로 관리 필요
CREATE TABLE sales_backup AS SELECT * FROM sales;
# 자동 버저닝과 시간 여행 지원
df = spark.read.format("delta").option(
"versionAsOf", "5"
).load("/path/to/table")
데이터 품질 관리
-- 제한된 데이터 검증
SELECT COUNT(*) FROM sales WHERE amount IS NULL;
# 고급 데이터 품질 관리
expectations = DeltaExpectations(spark)
expectations.expect_column_values_to_not_be_null("amount")
expectations.expect_column_values_to_be_between("amount", 0, 1000000)
실시간 처리
-- 배치 처리 중심
INSERT INTO sales_summary
SELECT * FROM sales
WHERE date = CURRENT_DATE;
# 실시간 스트리밍 처리
streamingDF = spark.readStream.format("delta").load("/path/to/table")
query = streamingDF.writeStream.format("delta").start()
결론:
HDFS와 Hive의 조합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어 완전한 데이터 레이크하우스라고 할 수 없습니다:
진정한 데이터 레이크하우스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추가로 도입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했을 때 비로소 완전한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아키텍처를 구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