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
1) Data communications system's 5 components
- ① sender ② receiver ③ message ④ medium ⑤ protocol
2) Protocol
- 주고 받는 message의 순서, 포맷, 필드 등을 정의한 통신 규약(단순하게 '통신 규약'이 아님)
- the rules that both the sender and
receiver and all intermediate devices need to follow
to be able to communicate effectively.
3) Data Flow
- ① simplex(→) ② Half-duplex(→, ←) ③ full-duplex(↔)
4) Network
- 노드(디바이스)들을 interconnection 해둔 것
- wired link or wireless link
- point-to-point(1:1), multipoint(1:n)
- node 수가 많으면 fully-connected mesh topology(1:1)가 사실상 불가능 → 중간에 다른 장비(inter node?)가 받아서 넘겨줌으로 사실상 1:n이 가능(Ex. star topology: Hub)
- bus topology: 중간에 link가 끊어지면 신호가 되돌아옴 → 전체가 이상 → star는 하나만 고장
5) Switching
- 들어온 신호를 때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내보낼 수 있음
- LAN(Local Area Network)? 뭐 어쩌라고??
- ① circuit-switched: 자원을 선점해야 함 but 자원은 유한하고,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자원을 사용할 수 없으며, 한 번 선점한 자원을 사용하지 않을 때 다시 공유하는 것도 불가능(ex. 유선전화망) → 사용 효율 저하
- ② packet-switched: 모든 사용자가 packet(=data + 보내는 사람 주소 + 받는 사람 주소)를 자원의 예약없이 보낼 수 있으며, router에서는 queue buffer를 통해 목적지의 주소를 보고 전달해주는 방식 → 사용 효율 증가
6) The Internet
- backbones: 망 사업자?????
- Peering Point: 망과 망을 연결해주는 통신 장비???????
7) standard
- Open System Interconnection(OSI):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계층으로 나눈 것으로, OSI 7계층에 맞는 프로토콜을 가지면 서로 통신이 가능
- but, 인터넷이 먼저 생기고 OSI이 생긴 것으로 7계층으로 약속은 되어있으나 5계층으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음
-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게 서비스를 요청하고,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에게 알맞는 서비스를 제공
- Protocol Control Infomation(PCI): 각 계층별 프로토콜에 알맞게 추가된 전달 정보
- 5계층: app - tranport - network - data link - phys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