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타통신] Chap.2 Protocol Architecture
1. Protocol Architecture and Networks
- Port or Service Access Point(SAP)로 app-transport 계층을 연결
- protocol은 반드시 상대방이 있어야 유효한 것이며 반드시 peer-to-peer(p2p)로 이루어짐
- 전달하고자 하는 data가 길다면 잘게 나눠서 각각의 payload에 header(PCI? dest address, source address etd)를 붙여 packet으로 생성한 뒤 전달 → 도착 순서는 바뀔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transport 계층에서 TCP를 사용
- Encapsulation: 하위 계층으로 내려갈 수록 data에 header를 붙임 why? 해당 계층의 프로토콜에 맞게 동작하기 위해서 why? 상대방한테 데이터를 잘 보내기 위해 즉, 요청받은 서비스를 잘 수행하기 위해서
2. Socket programming
- socket(): server/client에서 소켓 생성
- bind(): 소켓에 ip #num, port #num 등을 색칠
- connect(): client에서 원하는 ip #num, port #num인 소켓을 찾아 연결
- → socket function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