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타통신] Chap.13 Ethernet

one_jeje·2022년 12월 18일
0

1. MAC protocols

  • Multiple Access Control Protocol
  • Random-access protocols: ALOHA(pure, slot), CSMA/CD, CSMA/CA
  • Controlled-access protocols: Reservation, Polling(너 보낼거 있니?하고 primary가 먼저 물어봄), Token passing → multiple은 불가능하기에 충돌은 발생하지 않음
  • Channelization protocols: FDMA, TDMA, CDMA
  • Ethernet은 Random-access 사용

2. Random-Access protocol

  • ①Pure ALOHA
  • 보내고자 하는 data의 길이는 같다고 가정
  • 그냥 아무렇게 막 보냄 → 당연히 충돌이 많을 수 밖에 → 시간 낭비가 많고 비효율적(약 18%)
  • 충돌이 발생하면 Back-off를 사용해서 충돌횟수 만큼 R의 선택범위를 증가시켜, 똑같은 재전송 시간을 고를 확률을 줄여서 재전송함
  • ②Slotted ALOHA
  • 시간을 slot으로 나누어서 slot이 시작할때만 data를 보낼 수 있음
  • 이렇게하면 낭비되는 시간을 하나의 slot으로 줄일 수 있음(vs Pure ALOHA에서는 하나의 data를 다 보내갈때 다른 data와 충돌이 발생하면 시간이 매우 낭비)
  • ③CSMA/CD
  • 충돌을 감지함(detect)
  • medium이 idle하다면 전송
  • ACK이 오지 않으면(무선) or 내 신호 E값을 알기 때문에 되돌아오는 값이 달라지면(유선) 충돌한 것을 감지 → jamming signal을 통해서 다른 애들한테도 충돌을 알려줌
  • 그러면 Binary Exponential back-off(BEB, 2^충돌한 횟수 중 하나를 골라서 기다림)만큼 기다렸다가 재전송
  • +) minimum size of frame = 512 bits why? 충돌 감지 시 재전송할 수 있도록 에엥?

  • ④CSMA/CA
  • 충돌하기 전에 방지(avoidance) why? 무선은 보낼 때도 받고, 받을 때도 보내야 하기 때문에 충돌을 알 수 없음
  • 조용하다면 추가로 BEB만큼 기다려서 전송

3. IEEE 802.3 MAC frame format

  • Preamble + SFD(Start Frame Delimiter): physical-layer header
  • Destination address & Source address: MAC(Medium Access Control) address
  • type: ehternet(Data-link layer)은 IP로 줄 수도 ARP로 줄 수도
  • Data: min = 46 bytes, max = 1500 bytes
  • CRC: error check
  • dest address + src address + type + data + CRC = frame: min = 512 bits = 64 bytes, max = 12,144 bits = 1518 bytes

  • MAC addressing: 6 bytes = 3 bytes(제조회사) + 3 bytes(개별)
  • 전부 다 1이면 broadcast(모두가 들어야함)

4. Ethernet

  • bridge, switch, full-duplex(보내고 받기가 동시에 되야하니까 안테나 2개 → CSMA/CD가 필요하지 않음 why? 보내고 받기가 동시에 다른 채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돌을 감지할 수 없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