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LAN
- wired: LAN에 있는 host는 물리적으로 Switch에 연결되어 있음
- vs wireless: LAN에 있는 host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음
- Ad Hoc network: infrastructure없이 mobile host로만 구성된 network(AP or base station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고?)

- 특징: attenuation(감쇠), interference(간섭), multipath(reflection에 의해 발생), error
- Access control: wireless host가 shared medium에 접근 권한을 얻을 수 있을지~~ → 여기서 hidden station problem 발생
- hidden station problem: shared medium(like AP or base station?)에 접근하려는 다른 host가 있는줄 모르는 것(why? 상대 host까지는 신호가 닿지 않아서 or Line-of-Sight가 차단되어서) → 동시에 접근하면 충돌이나 error 발생
- 망 구성 단위: BSS(Basic Service Set), ESS(Extended Service Set), IBSS(Independent Basice Service Set)
- BSS: 하나의 AP에 연결되는 node or AP없는 network

- ESS: AP와 BSS로 이루어짐

- MAC(Medium Access Control)을 어떻게 연결? 엥? 서로 다른 MAC을 통해 어떻게 LLC(Logical Link Control)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 DCF & PCF
-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의 대표적인 예가 bluetooth: Random Frequency hopping or adaptive frequency hopping(WLAN이 사용하는 곳은 피해서 hopping)
2. MAC sub-layer
- ①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 경쟁
- 동등한 순위
- AP(Access Point)가 있든 없든 가능? 각 기지국이 자율적으로 어쩌고 → station이 제어
- CSMA/CA
- ②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 비경쟁
- 우선 순위
- AP가 있으면 사용 가능? 기지국이 모든 송신을 제어? → AP에서 제어
- ⑴ CSMA/CA(Carrier-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 medium이 일정시간동안(DIFS) 조용한지(idle) 확인
- → 조용하다면 신호를 보내려고 하는데 이때 다들 한꺼번에 보내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음
- → 그러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랜덤값을 고름: Binary Exponential Back-off
- → 그래서 이 랜덤한 시간을 추가적으로 기다리고 조용하다면 조금 신호를 보내보고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점점 보내는 양을 늘려나감
- → but, hidden station problem은 존재
- → 그래서 destination한테 '나 보내도 돼?'하고 RTS를 보냄
- → destination이 괜찮으면 'ㅇㅇ보내도 돼'하고 CTS를 보냄 이때, 물어본 source에게만 답변하는게 아니라 다른 station에게도 CTS를 보내서 '나 다른 애랑 얘기할거야'라고 알려줌(이때 RTS, CTS는 control message이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높음)
- → data 전송이 끝나면 destination은 source에게 '나 잘 받았엉'하고 ACK을 보냄 이때도 역시 마찬가지로 모두에게 보내서 통신이 끝났음을 알림
- ⑵ CSMA/CD(Carrier-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 medium이 idle하다면 바로 보냄
- → 충돌이 발생하면 다른 station에게 jamming signal을 보내서 충돌을 알리고 조금 있다가(BEB) 재전송 시도
- CA는 충돌이 생겨도 알 수가 없으니 충돌 방지 vs CD는 충돌이 발생하기 전까지 조치없음
- CA는 주로 무선에서 사용되며 ACK 사용 vs CD는 주로 유선에서 사용되며 ACK 미사용
- Binary Exponential Back-off
- cw = contation window min ~ max
- 0 ≤ R ≤ 2^cw 中 랜덤값을 고름
- slot이 조용하다면 이 랜덤값에서 -1을 해서 최종적으로 0이 되면 데이터를 보냄
- cw값이 충돌이 발생한 횟수?
- Q. why 2배씩 증가?
- A. 경험적으로 많이 해봤는데 그게 좋더라~
- Exposed Station Problem
- A-B 통신 중에 다른 station은 조용히 하고 있어야 하는데, C-D끼리 통신하는거면 A-B와 상관없음에도 조용히 하고 있어야 함
- but, 아직 상용화된 해결책 없음
3. IEEE 802.11be
- 사용 주파수 폭이 넓음(320 MHz) → 속도 상승
- 4K QAM → 하나의 신호에 많은 bit를 실을 수 있음
- MIMO: 안테나 여러 개
- Multi-AP cooperation: 여러 개의 AP를 스케쥴하여 서비스 받음
- OFDMA: 여러 사용자가 사용(OFDM은 직교할 때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고 그 때를 사용하는 것인가 이게 무엇이지)
- BSS-coloring: 채널은 동일한데 AP에 색을 다르게 칠해서 중첩된 공간임을 인지할 수 있는 것
- beamforming: exposed station problem을 해결할수도~
+) Ref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287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1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