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이 짜여지고, 벌써 4일차의 날이 밝았다.✨
애초에 우리 팀은 부족한 실력이지만, 열심히 코딩 노예가 되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구성된만큼, 모두들 열심히 달리는 중이다.
메인프로젝트와 프리프로젝트의 큰 차별점은 '멘토의 유무'인데, 메인프로젝트때부터 각 주마다 각 팀당 백엔드,프론트엔드 총 2분께서 멘토링을 해주신다.
그저께 첫 멘토링을 했다.
프론트엔드 팀원들은 첫 멘토링 시간 전에 모여서 질문 목록을 만들었다.
다른 팀들도 그렇게 하겠거니 생각했는데, 멘토님께서 여태껏 질문 목록을 짜온 팀은 처음이라며 감동을 받았다고 하셨다.
감동을 받으신 덕인지 몰라도 멘토님이 생각보다 더 자세하게 답변 해주셔서 나도 큰 감동을 받았다.
백엔드와 프론트 엔드 멘토님의 말씀을 각각 정리해보고자 한다.
(팀원분들이 작성해주신 내용과 내가 정리한 내용을 취합)
백엔드
- 네트워크 지식은 백엔드 뿐만 아니라 프론트엔드도 필히 알고 있어야 한다.
CIDR
이라는 용어를 모르면 현업에서 무식하단 소리를 듣는다. (농담조로)
- AWS를 다루면서
vpc
,subnet
같은 용어도 알아둬야 할만큼 평상시에 배우는 것들을 허투루 지나치지 마라.
- 이번 프로젝트때
CI/CD
를 꼭 해봐라.
-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을 강조.
- 영어를 배워두면 외국 취업에도 유리하다.
프론트 엔드
- 디자인의 중요성 매우 강조..
- 일정 관리 툴. 지라, 노션, 슬랙 등을 활용
- 피그마는 padding과 margin을 4단위로 나누어떨어지게 하자. 4px grid. 훨씬 깔끔해보인다.
- 반응형 웹은 미디어 쿼리 요즘 잘 안쓰고 애초에 모바일 기준으로 개발 많이 한다. 가로가 360-600px에서 제대로 출력되게 만들고 그 이하는 신경 쓰지 않고 더 클 때는 좌우로 빈 곳간만 채우게. 600px 이상도 상관없음. - 디자인 자신 없다면 잘 만든 사이트 레이아웃 참고하자.
- str.api
- css 통일성 유지하기 위해 제일 먼저 스타일드 컴포넌트 전역 설정 및 테마 설정하자.
- 회원가입은 소셜 로그인이 많아서 페이지가 아예 없는 곳도 많다. react-hook-form과 yup 활용.
- 캐러셀 컴포넌트 구현용 react-carousel & react-swipe (배너뿐만 아니라 스와이프로 작동하는 탭에서도 가능)
- chart.js : 차트 대시보드 페이지
- day.js : 날짜 관련
- react infinite scroller : 무한 스크롤
- loadash : 배열이나 객체에서 데이터 처리하는 함수들이 주로 정리되어 있음. debounce, throltle 등 시간을 조건으로 함수를 실행시킬 수 있음
- framer motion : 애니메이션 관련. 조건에 따라 애니메이션 실행시키는 등. UX 상승.
- kakao map api
- npm trends : 각 라이브러리 사용자 수 확인.
- 카카오지도 geolocation으로 사용자 위치 확인.
- Array.isArray와 length>0 검증
- 데이터가 없으면 어떻게 보여질지도 나타내자.
멘토링 시간은 원래 주 1회 90분이지만, 멘토님의 피드백을 자주 받기 위해 주 2회 45분으로 조정했다.
(월요일 6:15, 수요일 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