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getTime()
let myDate4 = new Date(2017, 4, 18, 19, 11, 16);
let today = new Date();
let timeDiff = myDate4.getTime() - today.getTime();
console.log(-timeDiff + ' 밀리초'); //158576281794 밀리초
console.log(-timeDiff / 1000 + ' 초'); //158576281.794 초
console.log(-timeDiff / 1000 / 60 + ' 분'); //2642938.0299 분
console.log(-timeDiff / 1000 / 60 / 60 + ' 시간'); //44048.967165 시간
console.log(-timeDiff / 1000 / 60 / 60 / 24 + ' 일'); //1835.373631875 일
console.log(-timeDiff / 1000 / 60 / 60 / 24 / 30 + ' 월'); //61.1791210625 월
console.log(-timeDiff / 1000 / 60 / 60 / 24 / 30 / 12 + ' 년'); //5.098260088541667 년
//요일(0~6 / 일~토)
let today1 = new Date();
console.log(today1.getDay()); //6
//set Date 객체
let myDate = new Date(2017, 4, 18, 19, 11, 16);
myDate.setFullYear(2022);
myDate.setMonth(6);
myDate.setDate(28);
console.log(myDate); //2022-07-28T19:11:16.000Z
일단 먼저 new Date() 메서드를 생성자로서 기능을 불러온다.
그 다음 myDate4.getTime()으로 메서드를 실행하게 되면, 1970년 1월 1일 00:00로부터 밀리초 단위로 얼마나 시간이 지났는지 숫자로 보여준다!
ex) console.log(timeDiff) // 1495102276000
위에는 timeDiff 를 myDate4 - today의 형태인데, 절댓값으로 차이를 보고 싶다면, today - myDate4 가 나아보인다.
ex ) let timeDiff = today.getTime() - myDate4.getTime();
timeDiff / 1000 → 밀리초에서 초 단위로 변환
timeDiff / 1000 / 60 → 밀리초에서 분 단위로 변환
timeDiff / 1000 / 60 / 60 → 밀리초에서 시간 단위로 변환
timeDiff / 1000 / 60 / 60 / 24 → 밀리초에서 일 단위로 변환
timeDiff / 1000 / 60 / 60 / 24 / 30 → 밀리초에서 월 단위로 변환(이건 정확하지 않음)
timeDiff / 1000 / 60 / 60 / 24 / 365 → 밀리초에서 년 단위로 변환(이건 거의 정확함)
today1.getDay() 로 메서드를 실행하면 '요일'이 나오는데
console.log(today1.getDay()) 하면, 0(일) ~ 6(토) 로 생각하면 된다.
set으로 시작하는 Date() 관련 메서드는 값은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기능을 한다.
let myDate = new Date(1995, 04, 28);
myDate.setFullYear(2022);
myDate.setMonth(6);
myDate.setDate(28);
console.log(myDate); //Thu Jul 28 2022 00:00:00 GMT+0900 (한국 표준시)
get이랑 set 관련된 메서드는 너무 많아서 다 외울 생각을 하기 보다는 그때그때 찾아보고 익숙해지는게 좋은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