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시간정보 알아내는 메소드
let myDate5 = new Date();
console.log(myDate5.toLocaleDateString()); //5/28/2022
console.log(myDate5.toLocaleTimeString()); //4:00:39 AM
console.log(myDate5.toLocaleString()); //5/28/2022, 4:00:39 AM
//알아서 수정해주는 new Date();
let myDate6 = new Date(1988, 0, 32);
console.log(myDate6); //1988년 2월 1일
//Date.now() 메소드-> timeDiff1 = myDate.getTime() - today.getTime(); 식이 필요없음
//timeDiff2 = myDate.getTime() - Date.now();
let myDate7 = new Date();
console.log(Date.now() === myDate7.getTime()); //true
console.log(myDate7);
console.log(Date.now());
//Date.now() 쓰는 이유 예시 (지금이순간 구하기!)
let today2 = new Date();
let myDate8 = new Date(2002, 06, 28, 19, 13, 24);
timeDiff1 = myDate8.getTime() - today2.getTime();
timeDiff2 = myDate8.getTime() - Date.now();
console.log(timeDiff1); //-625827879973 (음수가 나올수록 시간이 지났다는 이야기)
console.log(timeDiff2); //-625827879973
toLocaleString(); 을 써서 전부 다 가져오는게 좋아보임
let myDate5 = new Date(1988, 0, 32) 32일은 없기 때문에 1월 31일 + 1일 → 2월 1일로 수정
console.log(myDate5); // Mon Feb 01 1988 00:00:00 GMT+0900 (한국 표준시)
Date.now() 는 today.getTime()를 의미한다.
let today = new Date(); // 기본값으로 현재를 의미
console.log(Date.now() === today.getTime()); //true
시간 차이 구할 때는 반드시 다음과 같이 하는게 좋다.
let today = new Date();
let myDate = new Date(2020, 11, 28);
let timeDiff = Date.now() - myDate.getTime();
console.log(Math.floor((timeDiff / 1000 / 60 / 60 / 24))); //519 일
Math 관련 메소드는 다음부터 공부 한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