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졸업준비와 자격증 시험 공부를 하느라 포스팅이 많이 밀렸다ㅜㅜ,, 밀린 내용은 부지런히 올려야지,,😞 Nextcloud로 파일 공유 서버 구축하기 1. VM 준비 지난 미디어 위키 서버는 centOS에서 진행하였으니 이번엔 ubuntu 22.04 live-server 이미지를 준비했다! 매번 그렇지만 새 VM을 생성하는 과정이 제일 재밌다 히히.. 2. Nextcloud란 무엇인가? > Nextcloud는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저장, 편집,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기능은 물론 음성 및 화상 통화 호스팅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다. nextcloud 드롭박스나 구글 드라이브를 떠올리면 될 것 같다. 프로젝트에 활용하는 경우 민감한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하여 보호하거나, 개발시 넥스트클라우드 서버를 프론트단에 배치하여 클라이언트가 미디어에 접근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고 한다! (
ubuntu에서 LAMP 서버 구축 ubuntu linux apache mariaDB php 해당 명령을 이용하면 번들 패키지를 통해 웹 서버를 간단하게 구축할 수도 있지만 이번엔 수동으로 설치해보기로 했다! 서버는 vBox를 통해 ubuntu 22.04 버전을 생성했다. (기존PC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환경을 변경해야함) 1. apache2 설치 및 설정 호스트PC에서 해당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 ip addr 명령으로 가상머신의 ip 주소를 확인 한 뒤 접속한다. 설치만 해서 아직은 아파치 기본 페이지가 나온다! 이제 페이지를 추가해야한다. /etc/apache2/sites-available/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000-default.co
리눅스의 아카이브 관리 > 아카이브는 다수의 파일과 디렉토리로 이루어진 하나의 파일이다. 다수의 파일을 하나로 묶어 사용하면 이동, 공유, 저장 등의 작업이 수월해진다. (파일의 관리와 추적이 용이) 아카이브는 파일시스템 이미지를 만들거나 데이터를 백업하는데에 주로 사용된다. 1️⃣ 파일 아카이빙 1. tar 1-1) 단순 아카이빙 tar 명령어에 주로 사용되는 옵션으로 c, v, f 가 있다. c: 새로운 아카이브 생성 v: 상세 메세지 출력 f: 아카이브 파일명 지정 1-2) 아카이브의 압축 기존 명령어에 z 옵션을 추가하면 생성한 아카이브를 gzip 프로그램으로 압축할 수 있다. ➡️ tar 명령은 일반적으로 파일 시스템 전체나 일부분을 아카이빙 하는데 사용한다. 2. split 큰 용량의 파일을 작게 나누는 명령어이다. (용량이 큰 프로그램 로그 파일등에 활용할 수 있음) 해당
🖍 SSH & Port 1. SSH 란? > SSH? 시큐어 셀(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즉,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서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출처 2. ssh 사용하기 2-1) ssh install (openssh : ssh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젝트) ssh 서버와 클라이언트용 파일을 설치한다. 2-2) 활성화하기 2-3) 접속하기 -p : port 22 : ssh의 포트번호
Linux - Internet & Server 1. Internet > 인터넷은 Request와 Response를 오가는 컴퓨터와 서버 사이의 대화 형식이다. Request = Client (ex. 나의 노트북) Response = Server (ex.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서버) 사용자는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domain name 또는 ip address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 ex) domain name = google.com ->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이름 ip address = 172.217.174.110 -> 전화번호 사용자는 이동하고자 하는 웹페이지의 주소를 웹브라우저의 url 검색창에 입력한다. (request 단계) 이 때 DNS Server가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이나 ip 주소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찾아 응답 형식으로 출력하여 보여준다. (response 단계) DNS Server는 일종의 전화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