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 연산자는 모두 나블라 연산자(∇) 와 관련 있으며, 입력이 스칼라 필드인지 벡터 필드인지에 따라 의미와 결과가 달라집니다.
연산자
수식
입력
출력
의미
그라디언트 ∇𝜙
∇ϕ = (∂ϕ/∂x, ∂ϕ/∂y, ∂ϕ/∂z)
스칼라 필드 ϕ
벡터 필드
함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크기
다이버전스 ∇⋅𝐅
∇⋅𝐅 = ∂Fx/∂x + ∂Fy/∂y + ∂Fz/∂z
벡터 필드 𝐅
스칼라 필드
벡터가 얼마나 퍼지는지 (발산 정도)
라플라시안 ∇²𝜙
∇²ϕ = ∇⋅(∇ϕ) = ∂²ϕ/∂x² + ∂²ϕ/∂y² + ∂²ϕ/∂z²
스칼라 필드 ϕ
스칼라 필드
함수의 곡률(휘어짐), 변동성
1️⃣ 그라디언트 (Gradient, ∇𝜙)
(1) 정의
그라디언트는 스칼라 필드에서 미분 가능한 각 방향(x, y, z)에 대해 편미분하여 만든 벡터 필드입니다.
∇ϕ=(∂x∂ϕ,∂y∂ϕ,∂z∂ϕ)
(2) 의미
함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을 나타냄
벡터의 크기는 변화율의 크기
(3) 예시
예: 온도 분포 ϕ(x, y, z)가 있을 때, ∇ϕ는 온도가 가장 빠르게 올라가는 방향과 속도를 알려줍니다.
2️⃣ 다이버전스 (Divergence, ∇⋅𝐅)
(1) 다이버전스의 정의
다이버전스는 벡터 필드가 특정 위치에서 얼마나 퍼져나가는지를 측정하는 연산입니다.
∇⋅F=∂x∂Fx+∂y∂Fy+∂z∂Fz
입력: 벡터 필드F=(Fx,Fy,Fz)
출력: 스칼라 값 (특정 점에서의 발산 정도)
(2) 다이버전스의 의미
✅ 양수(∇⋅F>0)→ 해당 점에서 벡터가 밖으로 퍼져나감 (소스 Source)
✅ 0(∇⋅F=0)→ 해당 점에서 벡터가 발산하지 않음
✅ 음수(∇⋅F<0)→ 해당 점에서 벡터가 안으로 모임 (싱크 Sink)
(3) 다이버전스 예제
✅ 1D 예제: 공기의 흐름
공기의 속도F(x)=x2라고 하면,
∇⋅F=dxd(x2)=2x
-x>0→ 다이버전스가 양수 → 공기가 퍼져나감
-x<0→ 다이버전스가 음수 → 공기가 모임
✅ 3D 예제: 전기장(전하의 영향)
양전하(+) 주변에서는 전기장이 밖으로 퍼짐 →∇⋅E>0
음전하(-) 주변에서는 전기장이 안으로 모임 →∇⋅E<0
가우스 법칙(Gauss's Law):
∇⋅E=ϵ0ρ
(ρ는 전하 밀도)
즉, 다이버전스는 전기장이 얼마나 퍼지는지를 나타냅니다.
3️⃣ 라플라시안 (Laplacian, ∇²𝜙)
(1) 라플라시안의 정의
라플라시안은 스칼라 필드 ( f ) 에 대해 그라디언트를 구한 후, 그 결과 벡터 필드에 다이버전스를 적용한 것입니다.
∇2ϕ=∇⋅(∇ϕ)
이것은 각 좌표축 방향으로의 이차 미분을 더한 것입니다.
라플라시안은 스칼라 필드의 곡률(휘어짐)을 측정하는 연산입니다.
∇2ϕ=∂x2∂2ϕ+∂y2∂2ϕ+∂z2∂2ϕ
입력: 스칼라 필드ϕ(x,y,z)
출력: 스칼라 필드 (해당 점에서의 변화율)
(2) 라플라시안의 의미
✅ 양수(∇2ϕ>0)→ 해당 점이 주변보다 낮음 → 오목(Concave, U자 모양)
✅ 0(∇2ϕ=0)→ 변화 없음 (평평한 영역)
✅ 음수(∇2ϕ<0)→ 해당 점이 주변보다 높음 → 볼록(Convex, ∩자 모양)
(3) 라플라시안 예제
✅ 1D 예제: 2차 미분과 유사
만약ϕ(x)=x2라면,
∇2ϕ=dx2d2(x2)=2
즉, x2는 U자 모양(오목)이므로 라플라시안이 항상 양수입니다.
✅ 2D 예제: 온도 분포
온도 필드T(x,y)=−x2−y2라면,
∇2T=−2−2=−4
즉, 온도가 주변보다 높으므로 해당 지점은 산 꼭대기(볼록한 부분)가 됩니다.
다음은 gradient(그래디언트) 개념을 추가하여 수정한 내용입니다. gradient는 다이버전스 및 라플라시안과 함께 벡터 미분 연산자의 기본적인 세 가지 연산 중 하나로, 함께 비교하면 전체적인 이해가 더욱 명확해집니다.
4️⃣ 그라디언트, 다이버전스, 라플라시안의 차이 정리
연산자
그라디언트 (∇𝜙)
다이버전스 (∇⋅𝐹)
라플라시안 (∇²𝜙)
정의
스칼라 필드의 기울기를 벡터로 나타냄
벡터 필드의 발산(퍼지는 정도)
스칼라 필드의 변화율(휘어짐)
입력
스칼라 필드 ϕ
벡터 필드 F
스칼라 필드 ϕ
출력
벡터 필드
스칼라 값
스칼라 값
수식
∇ϕ=(∂x∂ϕ,∂y∂ϕ,∂z∂ϕ)
∇⋅F=∂x∂Fx+∂y∂Fy+∂z∂Fz
∇2ϕ=∂x2∂2ϕ+∂y2∂2ϕ+∂z2∂2ϕ
물리적 의미
가장 급격한 증가 방향과 그 크기
벡터 필드가 공간에서 얼마나 퍼지는가?
스칼라 필드가 얼마나 곡률을 가지는가?
예시
온도 분포에서 열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
전기장의 발산 (∇⋅E), 유체의 흐름
온도 변화, 전위 변화, 압력 분포
5️⃣ 결론
✅ 그라디언트(Gradient)는 스칼라 필드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 필드를 반환함
✅ 다이버전스(Divergence)는 벡터 필드가 어떤 점에서 얼마나 퍼지는지(발산)를 측정
✅ 라플라시안(Laplacian)은 스칼라 필드의 곡률(휘어짐)을 측정하며, 그라디언트를 구한 뒤 다이버전스를 적용한 형태
✅ 셋 다 물리학 및 공학에서 매우 중요하며, 포아송 방정식, 전기장, 열 전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