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3일 (월)
오늘 한 일
- 비동기 함수에 대해 좀 더 깊이있게 이해했다.
React
의 개념에 대해 복습했고, Recast.ly sprint review
를 실시했다.
- 함수 컴포넌트 vs 클래스 컴포넌트
stateful
하냐? stateless
하냐의 차이
React Hooks
를 통해 함수형 컴포넌트도 stateful
하게 가능하다.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함수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React
의 새로운 기능이자 컨셉이다.
- 페이지부터 만드는 것이 아닌, 컴포넌트부터 만드는 것이 좋은 접근이다. 그 컴포넌트들을 어떻게 조합할지를 생각하는게 좋다.
this.state
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 항상 setState
를 사용해야한다. 그 이유는 리액트 라이프사이클에 있다. 알고 있던 내용이지만 확실히 알고 넘어가자.
WebPack
- 컴포넌트 단위로 분리되어 있는 녀석들을 하나의 파일로 모아준다. 난독화를 해준다.
- 각기 다른 모듈을 하나로 뭉쳐준다.
bundle.js
를 만들어주는 가장 유명한 번들러이다. 모듈 번들러라고도 한다. 사실상의 표준이고, html
파일 내부의 script
태그를 통해 bundle.js
만으로 앱을 실행하게 해준다.
Virtual DOM
🌻 느낀 점 🌻
React Hooks
를 좀 더 공부해봐야겠다. 나한테도 월요병이 있는건가. 오늘이 조금은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그래도 나아가자. 버티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자. 꾸준함은 모든 것을 이긴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 즐겁게 공부하자. Redux
설렌다😆
내일 할 일
Refactor Redux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가 왜 필요한지 이해하고,
Redux
(혹은 Flux Pattern
)에서 사용하는 Action
, Store
그리고 Reducer
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Redux
의 3가지 원칙이 무엇이며, 주요 개념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 컴포넌트에서 필요로 하는
state
정보를 props
로 매핑(mapping
)할 수 있다.
Action
을 이용해 Store
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Toy Problem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