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ksctl로 클러스터를 생성하면 콘솔에서는 EKS 클러스터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어 내부 리소스를 확인할 수 없다..관리자 콘솔에서 eksctl로 생성한 클러스터 내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위 명령어를 eksctl로 클러스터를 만든 환경에서 실행 후 data.m
아래는 CodeBuild로 파이썬으로 작성된 파일을 도커파일로 빌드하는 buildspec.yml 파일이다.도커 이미지의 태그를"한국시간 기준 현재날짜 – 2자리 년도, 월, 일, 시, 분, 초 형식" ex) 23년 3월 16일 15시 3분 30초 이라면 23031615
이 스크립트를 실행할 서버에서는 aws configure(region), 어드민 권한(정확히는 EC2 생성, 서브넷 조회, 가용영역 조회)이 있어야 한다.userdata file은 run-ec2.sh와 같은 경로에 위치시키거나 이름 또는 경로를 자신에게 맞게 수정해줘야
나는 AWS 계정을 2개 사용하는데 주로 1계정으로는 테스트나 실습을 진행하고 2계정으로는 프로젝트를 돌려보는데 AWS Configure를 다시 입력해 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었다. 그래서 오늘은 AWS Configure를 여러 계정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