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면접 빈출 정리

네민·2024년 11월 26일
0

우당탕탕 cs 공부

목록 보기
3/14

인터페이스

객체의 모든 행동 규약을 정의한다.

다중 구현이 가능하며, 클래스와 달리 데이터 상태를 가지지 않는다.

추상클래스

객체 생성이 불가능하며, 일부 메서드만 구현되거나, 구현되지 않은 상태로 선언된다.

클래스 상속 관계에서 사용되며, 서브 클래스가 기본 동작을 상속받거나 확장하도록 설계된다.

다중 상속 불가능

스프링 특징

Ioc (제어의 역전)

객체의 생성, 소멸을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해서 개발자는 로직에 더 신경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객체 간 결합도를 줄이고 유연한 코드 작성 가능

DI (의존성 주입)

의존 관계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직접 주입한다.

Bean 생성 주기

  1. 생성
  2. 의존성 주입
  3. 전처리, 후처리를 위한 beanPostProcesseor 호출
  4. bean 초기화 후에 준비 상태 → 사용
  5. 애플리케이션 종료시 소멸

정규화

데이터의 중복이나 무결성을 높이기 위해 테이블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상 현상 → 삽입,삭제,갱신 이상

삽입 이상: 의도하지 않은 데이터까지 삽입해야만 자료가 테이블에 추가됨

삭제 이상: 원하지 않는 데이터까지 삭제됨

갱신 이상: 중복 데이터 중 일부만 수정되어 데이터에 모순이 일어남

제 1 정규화: 원자성 보장, 컬럼에 두 가지 값이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분리

제 2 정규화: 부분 함수 종속 제거, 기본 키 전체에 종속되도록 테이블을 분리하는 과정

제 3 정규화: 이행 함수 종속 제거, A → B → C 관계일 때, A가 C를 간접적으로 결정하니까 분리

반정규화

성능 최적화와 데이터 접근 편의성을 위해 정규화된 테이블을 다시 합치거나 중복 데이터를 허용하는 작업입니다. 주로 조인 비용을 줄이고 응답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지만, 데이터 중복과 무결성 관리의 복잡성을 가져올 수 있음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정확하고, 일관성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


느낀점
cs는 봐도봐도 헷갈리고 모르는 게 너무 많다.
면접 스터디 후 대답 제대로 못한 것들 우다다 공부해봤는데 정말 큰일...


참고자료
[Spring] DI, IoC 정리

profile
기록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