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식 : 값을 만들어내는 간단한 코드 예) 1 + 2 + 3
문장 : 하나 이상의 표현식이 모여 구성되는 것, 코드를 읽어들이는 기본 단위
예) var num1 = 1;
프로그래밍 언어가 처음 만들어질 때 정해진 특별한 의미가 있는 단어
프로그래머가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예) 변수, 상수의 이름, 함수 이름
프로그램 코드를 설명하는 문장, 프로그램 진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alert("경고창에 출력하기");
console.log("콘솔에 출력하기");
자료형 : 자료의 종류(데이터의 모양 혹은 type)
문자열 : 문자들의 집합(js에서는 문자열이 하나든 여러 개든 모두 문자열 자료형이라고 한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큰 따옴표든 작은 따옴표든 문자열 자료형에 해당한다.
'안녕하세요'[0] >> '안'
다음과 같이 인덱싱이 가능하다.
'안녕하세요'.length >> 5
length 속성을 사용하여 문자열의 길이를 얻을 수 있다.
js는 실수와 정수를 모두 같은 자료형으로 인식한다.
숫자를 입력하면 숫자 자료가 만들어진다.
1 // 수 자료형
typeof(1) >> Number
typeof연산자를 사용하여 해당 자료의 자료형을 얻을 수 있다.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 true와 false가 이에 해당한다.
typeof(true) >> Boolean
typeof(false) >> Boolean
항상 같은 수, 변하지 않는 수
const number = 1;
js에서 상수는 const keyword를 사용하여 선언한다.
js에서 상수는 반드시 초기화를 해줘야 한다.(초기화 : 값을 할당해주는 것)
변하는 수, 값을 가리키는 식별자
var num1 = 1;
let num2 = 2;
var, let 모두 변수를 선언하는데 사용되는 키워드이지만 일단 최대한 let을 사용하도록 하자.
선언 : 메모리에 공간을 할당하는 것, 상수 또는 변수를 생성하는 것
할당 : 상수 또는 변수에 값을 넣는것
let num1; // 선언 (메모리에 공간이 잡히게 된다.)
num1 = 2; // 할당
js에서도 자료형 간에 변환이 가능하다.
숫자 자료형으로의 변환은 Number() 메소드를 사용한다.
let a = '1'
console.log(a); // '1'
console.log(typeof a); // String
a = Nubmer(a)
console.log(a); // 1
console.log(typeof a); // Number
문자열 자료형으로의 변환은 String() 메소드를 사용한다.
let b = 2;
console.log(b); // 2
console.log(typeof b); Number
b = String(b);
console.log(b); // '2'
console.log(typeof b); String
불 자료형으로의 변환은 Boolean() 메소드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자료는 불로 변환했을 때 true로 변환된다.
다만 다음의 5가지 경우는 false로 변환되는걸 기억해두자.
Boolean(0);
Boolean(NaN);
Boolean("");
Boolean(null);
Boolean(undef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