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map(callback, [thisArg])
- callback: 새로운 배열의 요소를 생성하는 함수로 파라미터는 다음 세 가지
- currentValue: 현재 처리하고 있는 요소
- index: 현재 처리하고 있는 요소의 index 값
- array: 현재 처리하고 있는 원본 배열
-thisArg(선택항목): callback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this 레퍼런스
const numbers = [1, 2, 3, 4, 5];
const result = numbers.map((num) => num * num);
result = [1, 4, 9, 16, 25];
const names = ['snowman', 'ice', 'snow', 'wind'];
const nameList = names.map((name) => <li>{name}</li>);
return <ul>{nameList}</ul>
리액트에서 key는 컴포넌트 배열을 렌더링했을 때 어떤 원소에 변동이 있었는지 알아내려고 사용한다. key가 없을 때는 Virtual DOM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비교하면서 변화를 감지하지만 key가 있다면 이 값을 사용하여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더욱 빠르게 알아낼 수 있어 쓰는 것을 권장한다.
key 값은 언제나 유일해야 하며 데이터가 가진 고윳값을 key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고유한 값이 없을 때만 index를 key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index 값이 key로 설정되면 배열이 변경될 때 효율적으로 리렌더링 하지 못한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IterationSample = () => {
const [names, setNames] = useState([
{ id: 1, text: "snowman" },
{ id: 2, text: "ice" },
{ id: 3, text: "snow" },
{ id: 4, text: "wind" },
]);
const [inputText, setInputText] = useState("");
const [nextId, setNextId] = useState(5);
const onChange = (e) => setInputText(e.target.value);
const onClick = () => {
const nextNames = names.concat({
id: nextId,
text: inputText,
});
setNextId(nextId + 1);
setNames(nextNames);
setInputText("");
};
const onRemove = (id) => {
const nextNames = names.filter((name) => name.id !== id);
setNames(nextNames);
};
const nameList = names.map((name) => (
<li key={name.id} onDoubleClick={() => onRemove(name.id)}>
{name.text}
</li>
));
return (
<>
<input value={inputText} onChange={onChange} />
<button onClick={onClick}>추가</button>
<ul>{nameList}</ul>
</>
);
};
export default IterationSample;
concat
, filter
등의 배열 내장 함수를 사용하여 새로운 배열을 만든 후 이를 새로운 상태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