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1 : 네이버, ‘맛집’ 검색 돕는 스마트블록 공개” [2022.05.20]
[서비스 설명 및 적용 알고리즘]
네이버는 인공지능(AI) 검색 '에어서치'가 맛집 후기를 담은 스마트블록을 공개했다고 20일 발표했 다. 스마트블록은 사용자가 여러 번 키워드를 바꿔가며 검색하지 않아도, 사용자 취향과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주제들로 구성된 블록 형태로 노출된다. 원하는 콘텐츠에 보다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네이버는 사용자에게 유익한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C- Rank, D.I.A 등 다양한 AI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예시]
'강남역 맛집'으로 검색을 시작한 사용자는 ▲TV 속 맛집 후기 ▲맛집 탐방가 리뷰 ▲반응 좋은 맛집 후기 등의 주제로 구성된 스마트블록을 통해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를 계속해 서 탐색할 수 있다.
[앞으로의 전망]
네이버는 맛집을 검색할 때 사용자들이 다양한 UGC(이용자창작콘텐츠)를 참고하는 만큼,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는 창작자 노출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는 "스마트블록을 통해 기 존 대비 약 60% 이상 더 많은 창작자의 콘텐츠를 발굴해 더욱 다양한 블록으로 노출하고 있다" 며 "AI가 자동으로 블록을 생성하는 만큼, 향후 더 많은 창작자가 노출되는 통로가 생겨날 것"이 라고 말했다.
Case 2 : 네이버 에어서치와 스마트블록 대응방법 [2022.05.07]
스마트블록’이란 검색 사용자의 의도, 취향을 반영한 컨텐츠 카테고리 블록이다. 이렇게 컨텐 츠를 카테고리로 블록 단위로 나눔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분석하여 AI(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맞춤형 레고 같은 방식으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등산’이라고 검색했을 때는 네이버 VIEW 탭에는 아래와 같이 ‘등산 코스’와 ‘등산 후기’가 나온다. 하지만 스마트블록 검색결과를 보면 아래와 같이 ‘등산’과 관련되어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주제 68개가 왼쪽부터 인기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위의 검색결과에서 첫 번째 ‘관련 추천’을 누르게 되면 ‘가볼만한 곳’, ‘등산 초보 추천’, 난이도별 추천’, ‘서울 등산 추천’ 등의 콘텐츠가 나오고, 오른 쪽에는 ‘등산의 다른 주제’에 대한 추천이 나오고 있다.
네이버는 스마트블록 적용 이후 검색결과 내 콘텐츠 소비량이 약 335% 증가했다고 하면서,올해 안에 스마트블록을 30%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한다.
사실 사용자 맞춤형 검색 서비스는 서비스 기업이라면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온 부분 일거 라고 생각한다. 네이버는 네이버의 최대 장점인 ‘인플루언서’의 게시물들을 활용한 것 같다. 국내 에서는 Daum, Naver, 그리고 Google 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네이버 만큼 포털사이트에서 사용자들이 활발히 일상 글을 올리는 곳은 없는 것 같다. Velog, Tistory 와 같은 블로그 사이트들은 구글에서 운영하는 것도 아니어서, 자사에서 활발히 운영되는 블로그는 네이버가 유일무이한 것 같다. 해당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통해 네이버만의 검색 서비스는 더욱 성장할 것 같다.
네이버서 '맛집' 검색하면 'AI'가 똑똑하게 찾아준다
네이버 에어서치와 스마트블록 대응방법
cf) 추가자료
C-RANk
DIA 로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