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num; // num 이라는 변수를 선언함.
num = 10; // num 이라는 변수에 10이라는 숫자를 할당함.
// 여기서 = 표시는 수학에서의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 num 이라는 변수에 10을 대입했다는 뜻임.
ex)
// number 타입
console.log(typeof 010); // number
// string(문자열) 타입
console.log(typeof "01012345678"); // string
console.log(typeof "heesan") // string
// boolean 형;
let a = 1 < 2
console.log(a); // true
console.log(typeof a); // true
// undefined 형 (undefined 도 타입이라는 것을 잊지말자!)
let nothing;
console.log(typeof nothing) // undefined
// nothing 이라는 변수에 할당된 것이 없으므로 타입은 undefined 이다.
정리
string
, number
, boolean
, undefined
가 있다.typeof
연산자를 활용하여 특정 값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함수 선언식
function getRectangleArea(width, height) {
let rectangleArea = width * height;
return rectangleArea;
}
console.log(getRectangleArea(5, 2)); // 10
// 함수 표현식
let getRectangleArea = function (width, height) {
return width * height;
};
console.log(getRectangleArea(5, 2)); // 10
// 화살표 함수
let getRectangleArea = (width, height) => {
return width * height;
};
// 바로 값을 리턴하는 경우 return 생략하고 간단하게 쓸 수 있음.
let getRectangleArea = (width, height) => width * height;
console.log(getRectangleArea(10, 5)); // 50
정리
parameter
)와 전달인자(argument
)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