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진법 변환, 비트 연산에 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재밌었는 점은 3년 전에 C언어를 배우던 중, ~13이 왜 -14인지 모르고 지나갔는데 그 이유를 알게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좀 이따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진법 변환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컴퓨터는 2진수의 형태로 모든 데이터를 CRUD 합니다 🚄 진법 변환 bin() ...
list comprehension > > 바깥쪽 for문은 앞에, 안쪽 for문은 뒤로간다고 생각하고 풀기 둘다 정답 동일 print(*li) > > > -> 1 2 3 으로 모두 동일한 값 출력 import collections.Counter > 위와 같이 Counter(li)을 사용하면, li의 원소의 수를 dictionary)
list, Dictionary의 함수 map(func,list1,list2) list의 요소를 지정된 function으로 처리해주는 함수 filter(func,list1) list에서 function의 결과가 True 인 것만 요소만 추출하는 함수 enumerat
list1=[[1,3,5] , [9,7,6] , [11,2,12]] 위의 리스트에서 각각의 원소의 마지막 자리가 10보다 큰 원소만 남겨서 list1에 저장한다 저장후, list1을 출력한다 결과가 이와 같이 나온 이유: 1. for문을 처음 통과할 때, i가 lis
다중 list, dictionary 비교연산자/논리연산자 제어문에 중요한 역할을 함 파이썬에서는 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의 판단 결과로 True, False 사용 사용할 때는 구분하지 않겠지만 작동방식 다름 작동 결과를 bool 타입으로
💻 조건문 if문 참거짓 판단을 위해 명제 자리에는 참,거짓 아닌 값도 가능 0, ' ' 는 거짓, 나머지는 참 논리연산자를 이용한 조건문, 다중 조건문, 중첩 조건문 분류 방법이 중요, 그 다음은 구체화 💻 반복문 while 기본 형태가 if와 유사 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