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는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이 언어는 90년대부터 주로 웹 브라우저 상에서 UI를 동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 사용을 해왔습니다.기존에는 브라우저에만 사용해왔던 언어인데, 이제는 단순히 웹페이지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특정 이름에 특정 값을 설정하는 것. 이것을 선언 이라고 부릅니다.값을 선언할 때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변수이고, 하나는 상수입니다.변수는 변할 수 있는 값을 말합니다. 한번 값을 선언하고 바꿀 수 있습니다.변수를 선언할 때는 let 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
변수 수업때 변수와 상수를 배우면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했었지요?let value = 1; // 변수 선언value = 2; // 대입 연산자여기서 두 번째 줄에서 사용된 = 문자가 바로 연산자입니다.그 중에서 = 는 대입 연산자에 해당합니다.첫번째는 새로운 변수를
: 조건문을 사용하면 특정 조건이 만족됐을 때 특정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은 if문입니다.if문은 "~하다면 ~를 해라"라는 의미합니다.const a = 1;if ( a + 1 === 2) { console.log('a + 1이 2입니다.'
: 함수는, 특정 코드를 하나의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const a = 1;const b = 2;const sum = a + b;이 작업으로 함수를 만들어보겠습니다.function add(a, b) { return a + b;}const sum =
객체는 우리가 변수 혹은 상수를 사용하게 될 때 하나의 이름에 여러 종류의 값을 넣을 수 있게 해줍니다.객체를 선언 할 때에는 이렇게 { } 문자 안에 원하는 값들을 넣어주면 됩니다. 값을 집어 넣을 때에는 키 : 원하는 값 형태로 넣으며, 키에 해당하는 부분은 공백이
이전에 배운 객체는 한 변수 혹은 상수에 여러가지 정보를 담기 위함이었다면,배열은 여러개의 항목들이 들어있는 리스트와 같습니다.예를 들어서 숫자 배열을 선언해보겠습니다.배열을 선언 할 때에는 이렇게 안에 감싸주면 됩니다.배열 안에는 어떤 값이던지 넣을 수 있습니다.
반복문은 특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구문입니다.for은 가장 기본적인 반복문입니다. 특정 값에 변화를 주어가면서 우리가 정한 조건이 만족이 된다면 계속 반복합니다.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결과가 0부터 9까지 잘 나타났습니다.for 문을 다음과 같이
배열은 1개의 변수에 여러 개의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은 객체이며 유용한 내장 메소드를 포함하고 있어요.Array 생성자로 생성된 Array 타입의 객체이며 프로토타입 객체는 Array.prototype입니다.0개 이상의 값을 쉼표로
객채와 배열은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자료 구조에요~!key를 가진 데이터 여러 개를 하나의 엔티티에 저장할 땐 객체를, 컬렉션에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할 땐 배열을 사용하죠~개발을 할 때 함수에 객체나 배열을 전달해야할 때가 있는데 저장된 데이터 전체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