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문서 만들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
하나의 문서는 제목, 내비게이션, 본문, 하이퍼링크, 리스트, 컨트롤 등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뤄지는데, 이것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 바로 요소(element)이다.
✔ 요소(element)
태그(tag)로 표시하며, 단순히 구성 요소의 종류와 그 범위만을 표시한다.
요소 안에는 속성(attribute)을 사용하는데 속성은 요소를 표현하기 위한 옵션 정보로서 요소가 지니고 있는 성질을 추가로 설명한다.
<!docutype html>
<html>
<head>
<!-- 웹 문서에 관한 메타 데이터 -->
</head>
<body>
<!-- 웹 문서에 들어갈 내용 -->
</body>
</html>
<!docutype html>
HTML이 어떤 버전으로 작성되었는지 미리 선언해, 웹 브라우저가 내용을 올바로 표시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해당 문서가 html5 버전으로 작성되었음을 선언
<head>
문서의 머리를 나타내는 태그이며, 브라우저 화면에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으며, 숨은 데이터를 정의하는 태그들이 선언된다.
<title>제목</title>
웹페이지의 제목을 지정하는 태그이며, 웹페이지 본문에는 보이지 않으며, 브라우저의 탭 등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유저에게 문서의 제목을 알리는 용도 뿐만 아니라, 검색 엔진 등에서 가장 크게 보여지는 텍스트이므로 페이지의 특성을 드러내는 제목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link>
css 스타일시트를 첨부할 때 사용하는 태그
<style></style>
HTML 문서내에 CSS 코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태그
<meta name="메타데이터 종류" content="메타데이터 값>
meta 태그는 HTML 문서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고, 키워드는 무엇이며, 누가 만들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있는 태그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eta name="author" content="홍수민">
<meta name="keywords" content="홍수민, 벨로그">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설명">
<meta charset="utf-8" />
charset
: 문서에서 허용하는 문자 집합에 대해 간단히 표시
name
: 메타 요소가 어떤 정보의 형태를 갖고 있는지
content
: 실제 메타 데이터의 컨텐츠(머릿말을 요약하는데 유용)
➡ 검색엔진이 메타 태그의 content 어트리뷰트
안에 있는 내용을 검색 결과와 함께 추가적으로 보여줌
viewport
여러가지 디바이스로 웹을 보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화면을 조정할 것이냐
즉, 디바이스 사이즈에 따라 반응해서 알아서 브라우저의 모양을 바꾸는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 요새 꼭 작성!
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화면 사이즈의 가로는 디바이스 사이즈로 맞추고 처음의 보여줄 때 1.0 배율로 보여줘!
author
작성자 명시
태그는 웹 페이지의 보이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쓰이는 태그이며, 페이지의 설명 요약, 핵심 키워드, 제작자, 크롤링 정책 등 수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닫는 태그가 없는 태그로, 태그의 속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예시>
IE-Edge
Internet Explorer(IE) 10 이하 버전은 문서를 읽을 때 쿼크모드 혹은 IE7모드를 사용해서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즉, 최신 엔진으로 페이지를 렌더링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한글 인코딩
최신 IDE(통합 개발 환경)을 사용한다면, 기본적으로 인코딩 방식이 UTF-8(한글)로 설정 되어있다. 하지만 Windows 운영체제는 기본 인코딩 값이 euc-kr 방식이기에 선언해야 한다.
<meta charset="utf-8">
<body>
태그는 문서의 몸통을 나타내는 태그이며, 브라우저화면에 보이는 것들이 주로 들어간다.
<script scr="경로"></script>
<script>자바스크립트 코드</script>
<script src="경로"></script>
body내에서 가장 마지막에 작성하는 것이 제일 좋다
HTML 문서내에 JavaScript 파일을 첨부할 때 사용하는 태그
<h1>
<br>
<div>
<p>
<span>
<form>
<h1>
<a>
<img>
<table>
<ul>
<li>
<na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