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이름 속성="속성값">내용</태그이름>
제목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태그 <h1> <h2> <h3> <h4> <h5> <h6>
문단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태그 <p>
줄바꿈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태그 <hr>
white-space
속성의 'pre' 값이 같은 의미를 갖는다.공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태그 <pre>
<strong>
<em>
내용을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태그 <strong> <em>
href
속성을 꼭 적어줘야 한다.href
속성에는 ① URL ② 상대경로 ③ 메일 쓰기 ④ 전화 걸기 등 들어갈 수 있다.현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태그
<a href="주소">
target
<a target="_blank"> : 새로운 tab을 열어서 이동
src
와 alt
속성들을 꼭 써줘야 한다.이미지를 넣을 때 사용하는 태그
<img src="경로" alt="사진 설명">
목록을 나타내는 태그 <ul> <ol>
<ul> 순서가 중요하지 않은 목록 - 번호가 붙지 않는
<ol> 순서가 중요한 목록 - 번호가 붙는
<li>
만 들어올 수 있다.<div>
<a>
태그들은 ❌<ol>
<li>
<a>
</li>
</ol> 처럼 <li> 안에다 적어줘야 한다.
list-style-type : none;
용어를 정의하거나 Key-Value로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하는 태그 <dl>
<dl>
<dt>용어</dt>
<dd>설명</dd>
</dl>
<dl>
태그의 자식요소는 <div>
<dd>
<dt>
만 올 수 있다.<dd>
<dt>
는 단독으로 사용 불가능하다.<dfn>
: 용어를 정의한다고 더 강조하는 태그<blockquote> <q>
문장을 인용할 때 사용하는 태그
<blockquote>인용 내용</blockquote>
<q>인용 내용</q>
둘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태그는 <blockquote>이다.
➕ <cite>출처</cite>
정말 아무리 생각해도 떠오르는 태그가 없을 때 사용
<div> 보통 css때 요소들을 묶어야할 때 사용
<span> 보통 텍스트의 일부분을 묶어줄 때 사용
<header>
보통 웹 상단에 웹서비스의 로고, 메뉴등이 위치하는 구역 태그이다.
<footer>
보통 웹 하단에 회사의 정보등이 위치하는 구역 태그이다.
<nav>
보통 메뉴를 위치하는 구역 태그이다.
<section>
보통 서브제목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구역태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