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Timeout은 비동기 함수로 다른 함수 호출을 막지 않는다.setTimeout은 함수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함수 구조를 갖는다.setTimeout(() => {}) 하지만 여기에서 중요한 건 두 번째 인자로 count가 들어가는데, 그 카운트 이후에 함수를 실행
눈에 보여지는 수치.HTMLElement.offset은 원초적인 사이즈라고 이해하면 된다.문서가 수직으로 얼마나 스크롤됐는지 픽셀 단위로 반환수평은 window.scrollX 사용HTML에서 data-\*\*\*\*(넣고 싶은 이름)로 사용할 수 있다.어느 엘리멘트에나
line-height 속성은 line-box 의 높이를 지정한다.주로 텍스트간의 줄 간격을 조절할 때 사용한다.아이콘, 이미지, 글 등을 일정한 크기의 안에 넣을 때 가운데 정렬을 할 때도 사용이 가능하다.물론 가운데 정렬이 의미가 되는 건 아니지만 line-heigh
나는 이런식으로 풀었었다.그런데 이게 빈문자열을 만나게 되면 el0가 undifined를 반환한다.그래서 런타임 에러가 떴었다.그렇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바꿔줘야한다. charAt에 숫자를 넣으면 index 부분을 반환해준다. charAt은 빈문자열을 만나면 빈 문
수직 정렬을 할 때 쓴다.hover는 마우스를 올렸을 때 다른 동작을 하도록 만드는 것이다.그냥 hover를 쓰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호버 해당 부위를 설정할 때는 이런 식으로 써야한다.여기서 자세히 보기https://studiomeal.com/archive
유클리드 호제법을 알면 쉽게 풀 수 있는 거라고 하던데 나는 아직 인지를 못했었어서 엄청 고생했는데 결국 못풀었다.이제부터라도 인지하자..유클리드호제법은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이고, 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소공배수를 구하면 된다최소공배수는 두 수의 곱 / 최대공
문제가 어려웠던 건 아니다.그런데 내가 너무 생각이 부족하여 꼬여버렸다.slice를 쓰면 쉽게 해결할 수 있던 문제였는데, slice가 배열에만 된다고 착각을 해버리는 바람에 너무 꼬아서 풀었던 문제다.그냥 단계별로 조건에 맞게 만들면 된다.다른 사람 풀이정규표현식을
애니매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요소.transition-property = 어떤 property를 줄 것인지transition-duration = 얼마나 딜레이를 줄 것인지transition-timing-function = 어떤 식으로 animation을 줄 것인지
움직이고 원래있던 모양을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X, Y, Z 값을 이용한다 translate : x,y,z 값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다 X -> 오른쪽으로 갈수록 숫자는 커진다 Y -> 아래로 갈수록 숫자는 커진다 scale -> 크기가 커진다(배율) rotate
background를 이용하면 쉽게 반응형처럼 만들 수 있다.background-repeat = 사진 반복 설정background-position = 배경 사진의 보이는 위치 설정background-size = 남는 공간 여백을 활용하는 것
블럭레벨의 태그를 사용할 때 수평 가운데로 넣고 싶다면 margin:auto를 사용하면 된다.text 말고 다른 정렬을 할 때도 많이 쓴다.center를 이용하면 가운데 정렬이 가능하지만 블록레벨의 태그에 적용하면 되지 않는다이럴 때는 margin: auto를 이용해야
sticky는 부모 안에서 포지션이 지정이 된다.스크롤을 내리면 지정된 위치에서 고정이 된다.다른 것들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부모와 상관없이 지정된 위치로 이동한다.sticky는 있던 그 자리에서 스크롤링이 고정fixed는 기존에 문서에서 나와서 포지션이 결정똑같이
box-sizing의 기본값.box의 size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변화된 것이 추가되는 것.padding 등 전부 포함해서 box의 size내에서 해결하기 때문에, box-sizing: border-box를 실행하게 되면 충 박스에서 비율이 조절된다.대부분 borde
아무리 봐도 알고리즘을 너무 못한다.난 완전 일자무식으로 풀었다. 나처럼 푼 사람은 없는 것 같다. 다른 사람 풀이 이 풀이에서 포인트는 일단 split으로 문자열에서 해당되는 것을 기준으로 나눈다 그러면 이런 식으로 나온다 "2three45sixseven" => '
머리가 안 돌아간다. 그냥 보자마자 멍하니 쳐다보다가 손도 못 댄.... 그런데 막상 보면 그렇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다. 근데 풀지를 못하는 게 함정. 제발......... 맨 위 함수 같은 경우는 3개를 더해서 소수를 만드는 경우의 수를 구하고 이걸 소수인지
거의 다 풀었었는데 지식이 부족해 결국 다른 사람들 것을 참조했다.나는 while문을 사용해서 풀려고 했는데.. 이차원 배열로 넣어서 내림차순으로 하는 것을 생각을 못했다.결국 다른 사람들이 푼 답 중에 가장 좋은 것은해석해보면 일단 1\. 빈배열을 만든다.2\. f
css에서 data는 굳이 id나 class명 말고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여기서 잘 보아야할 것은 console창이다보면 기본적으로 dataset으로 기본적인 이 data의 구조를 볼 수 있다.잘 기억하자.부트캠프 끝나서 좀 헤이해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