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네트워크 기본 개념 정리(2) - 네트워크 용어

한호성·2023년 11월 20일
0

Introduction

네트워크 강의를 들으면서, 이전에 자주 보고 들었던 용어이지만, 정확한 개념이 없었던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후에 네트워크를 공부할 때, 기본적인 용어가 될 것입니다 :)

#1 Host

L3 (대부분 Internet) IP를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를 우리는 호스트라고 이야기 합니다.

호스트 종류에는 두가지 가 있습니다.

  • End-point : Network를 사용하는 사용 주체! (단말기)
    ex) Client, Server, Peer(WebRTC)
  • Switch : Network 그 자체를 이루는 Host (Infra structure)
    ex) L3 Switch (Router), IPS(보안장치), (Tab, Aggregation switch)

    - #cf ) L3 Switch(Router) 가 하는 일
    IP 주소를 기반으로 Network 를 데이터(Packet)가 돌아다닐 때, 원하는 목적지를 향해 가기 위한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 각 Router에는 Routing Table이 있어서, 어디로 packet이 이동해야 효율적인지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matric 낮을 수록 비용이 낮다)
    - 어느것을 기반으로 Switching 하느냐에 따라, L2,L3,L4 스위치가 나뉜다.
    Window, cmd 창을 키고, route print를 치면 routing tabl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L2 Layer 용어들

NIC (Network Interface Card)

우리가 통상 LAN(Local Area Network) 카드라고 부르는 것 입니다. 이 NIC가 꽂혀 있으면 우리는 그 해당 컴퓨터를 HOST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MAC (Media Access Control) 주소

NIC 카드의 식별자 주소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만약 컴퓨터에 Network Interface 가 여러개가 존재한다면, 당연히 MAC 주소도 해당 개수만큼 여러개가 존재하게 됩니다. 맥주소는 총 48bit로 (6byte) 입니다.

Frame ( L2 Layer Data 단위)

L2 수준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단위입니다. (일반적으로 1518 Byte) 정도의 크기 입니다.

상위 계층에서 보낸 전송 데이터의 오류 확인, 송수신 호스트의 주소, 기타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제어 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구조를 조금만 자세하게 뜯어봅시다.
( 한번 읽어보면서 이런 요소들이 있구나 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

프리엠블 - Preemble (7byte) / 시작 프레임 지시기 - Start of Frame Delimeter (1byte)

  • 이더넷 MAC 프레임의 첫번째 필드 1과0을 반복적으로 표현하고, 위 8Byte의 마지막 2bit가 11이면 정상적 프레임이고, 다음 필드가 목적지 주소임을 나타냅니다.

목적지 주소 - Destination MAC Address (6byte)

  • 패킷을 수신하는 목적지 MAC 주소를 나타냅니다.

발신지 주소 - Source MAC Address (6byte)

  • 패킷을 송신하는 출발지 MAC주소를 나타냅니다

길이 or 종류 - Type or Length (2byte)

  • 캡슐화되어 있는 패킷의 프로토콜 정의를 나타냅니다.
    ( 다음 layer Protocol 정보를 나타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데이터 - Data / Payload (46~1500byte)

  •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로이 캡슐화 되어 들어있습니다.
  • 데이터 필드는 최소 46byte에서 최대1500byte의 크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상위 계층의 패킷의 길이가 최소길이(46byte)보다 작을경우 크기를 맞추기위해 끝에 padding(0)이 채워집니다.

FCS - Frame Check Sequence (CRC) (4byte)

  • 프레임 에러 체크
  • DA+SA+Length+Data의 영역을 계산하여 에러를 판별한다.
  • 송신측에서 CRC를 추가하여 보내고 수신측은 CRC를 체크하여 에러 프레임은 버립니다.

#cf) 추가적인 용어들이 있다면, 계속해서 위 글이 포함된 시리즈에 정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Reference

널널한 개발자님의 - 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https://velog.io/@wlsdnjs156/프레임Frame과-패킷Packet

profile
개발자 지망생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