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context learning - 메모리 메커니즘

FSA·2024년 11월 21일
0

딥러닝 기초

목록 보기
38/38

1. 기초 설명

  • 대형 언어 모델(LLM)에서의 인컨텍스트 학습은 주어진 입력 내의 컨텍스트를 활용하여 새로운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
  •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내부 작동 원리, 특히 Transformer 아키텍처Self-Attention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2. 컨텍스트의 처리와 기억

  • 컨텍스트는 모델에 입력되는 프롬프트 내에 포함된 예시나 지침을 의미. 모델은 이 컨텍스트를 다음과 같이 처리합니다.
  • 입력 시퀀스 통합: 컨텍스트와 실제 작업 입력이 하나의 시퀀스로 결합되어 모델에 입력
  • Self-Attention을 통한 정보 통합: Self-Attention 메커니즘은 컨텍스트와 작업 입력 간의 상호작용을 학습하여 중요한 정보를 추출
  • 기억 메커니즘: 모델은 외부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력된 컨텍스트 정보를 내부적으로 유지하고 활용

3. 암묵적으로 학습된 가중치의 활용

  • 모델이 컨텍스트를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은 사전에 학습된 가중치를 기반으로 함
  • 사전 학습된 지식: 모델은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로 사전 학습되어 일반적인 언어 패턴과 구조를 학습
  • 패턴 인식과 일반화: 사전 학습된 가중치는 모델이 새로운 컨텍스트에서도 패턴을 인식하고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함
  • 추론 과정: 모델은 입력된 컨텍스트에서 암묵적인 규칙이나 패턴을 추론하여 작업을 수행

4. 작동 과정의 상세 분석

  1. 입력 처리:
    • 컨텍스트와 작업 입력이 결합된 전체 시퀀스가 토큰화되고 임베딩 벡터로 변환
  2. Self-Attention 계산:

2. LLM이 과거 프롬프트를 기억하는 방식

LLM에서의 과거 프롬프트 기억 메커니즘에 대한 전문적 설명


1. 컨텍스트 윈도우와 입력 처리

  • 대형 언어 모델(LLM)은 고정된 길이의 컨텍스트 윈도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윈도우 내에서 입력된 모든 토큰을 한 번에 처리
    • 대화형 환경에서 이전에 주고받은 모든 메시지는 이 컨텍스트 윈도우 내에 포함되어 모델에 입력
  • 전체 대화 내역 포함:
    • 사용자의 질문과 모델의 응답을 포함한 전체 대화 기록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입력 시퀀스를 형성
  • 토큰 제한:
    • 컨텍스트 윈도우의 최대 토큰 수(예: 2048, 4096, 8192 등)를 초과하면, 가장 오래된 부분부터 잘려나가거나 요약

2. Self-Attention 메커니즘을 통한 정보 통합

Transformer 아키텍처의 핵심인 Self-Attention 메커니즘은 입력된 시퀀스 내에서 토큰들 간의 관계를 학습하고, 중요한 정보를 강조합니다.

3. 암묵적 기억과 패턴 인식

  • 모델은 별도의 외부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지만, 입력된 시퀀스 내에서 이전 프롬프트 정보를 암묵적으로 기억하고 활용합니다.
  • 사전 학습된 가중치의 활용:
    • 모델은 방대한 데이터로 사전 학습되어 일반적인 언어 패턴과 대화 흐름을 이해
  • 패턴 일반화: 이전 프롬프트에서 나타난 패턴과 지시사항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응답을 생성합니다.

4. 대화 관리와 상태 유지

LLM이 대화 내에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퀀스 포지셔닝: 대화의 각 턴(turn)은 순서대로 시퀀스 내에 위치하며, 모델은 포지셔널 인코딩을 통해 각 턴의 순서를 인식합니다.
  • 역할 태그: 입력 시퀀스 내에서 사용자와 모델의 발화를 구분하기 위해 특별한 토큰이나 태그가 사용됩니다(e.g., <사용자>:, <모델>:).
  • 대화 흐름 이해: 모델은 이전 대화 내용과 맥락을 고려하여 일관성 있는 응답을 생성합니다.

5. 메모리 제한과 한계

모델이 과거 프롬프트를 기억하는 데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 컨텍스트 윈도우 제한: 모델은 최대 컨텍스트 윈도우 크기 내에서만 이전 대화 내용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초과하면 가장 오래된 내용이 제거됩니다.
  • 장기 의존성 문제: 컨텍스트 윈도우 내에 있더라도, 시퀀스 길이가 길어질수록 장기적인 의존성을 정확히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요약과 압축: 일부 시스템은 오래된 대화 내용을 요약하여 컨텍스트 윈도우 내에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려고 시도합니다.

6. 구현 측면에서의 고려 사항

  • 시스템 프롬프트: 모델의 초기 상태나 지침은 시스템 프롬프트로 제공되며, 이는 대화 내역 앞부분에 위치합니다.
  • 최적화된 토큰화: 토큰 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통 어구나 패턴은 단일 토큰으로 인코딩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효율성: 모델의 계산 복잡도는 시퀀스 길이에 따라 증가하므로,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가 중요합니다.

7. 실례를 통한 이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대화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사용자>: 안녕하세요, 오늘 날씨 어때?
<모델>: 안녕하세요! 오늘은 맑고 화창한 날씨입니다.
<사용자>: 내일은 어떨까요?
  • 컨텍스트 통합: 모델은 위의 모든 대화 내용을 입력 시퀀스로 받아들입니다.
  • Self-Attention 적용: 모델은 이전 발화들을 참고하여 "내일은 어떨까요?"라는 질문이 날씨에 대한 것임을 이해합니다.
  • 적절한 응답 생성: 따라서 모델은 "내일도 맑은 날씨가 예상됩니다."와 같은 일관된 응답을 제공합니다.

8. 결론

LLM은 대화형 환경에서 이전 프롬프트와 응답을 입력 시퀀스 내에 포함시켜 처리함으로써, 마치 기억하고 있는 것처럼 동작합니다. 이는 Transformer의 Self-Attention 메커니즘과 사전 학습된 가중치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며, 모델은 입력된 모든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하여 일관성 있고 맥락에 맞는 응답을 생성합니다.


추가 참고 사항:

  • 모델의 상태 비유지: 모델 자체는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며, 각 턴에서 입력된 시퀀스에 기반하여 응답을 생성합니다.
  • 시스템의 역할: 일부 대화형 시스템은 이전 대화 내용을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요약하거나 중요 정보를 강조하여 모델에 제공합니다.

이러한 설명이 LLM이 과거 프롬프트를 어떻게 기억하고 활용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profile
모든 의사 결정 과정을 지나칠 정도로 모두 기록하고, 나중에 스스로 피드백 하는 것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