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회차] 블록체인 -> 비트코인/이더리움 -> NFT

About_non_work·2023년 5월 24일
0

코인 개요

  •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암호화폐 (온라인 가상화폐)
  • 신용카드는?
    • 내가 결제 -> 내의 카드 정보 -> 은행 -> 은행이 내 카드에서 돈을 인출 + 은행 장부에 입출금 내역 기입(중앙 서버에 저장)
    • 이 구조 자체가 위험
      • 내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음
      • 해킹 당할 수 있음 (중앙 서버를 보안하는 기술도 큰 비용 소요)
      • 은행이 파산하면 큰일
    • 미국 GDP 1%가 신용카드 범죄로 사라지고 있다.
  • 코인?
    • 비트코인: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가명의 프로그래머가 2009년 개발한 가상화폐
    • 핵심은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회사 어떤 권력의 개입 없이 작동하는 새로운 화폐
    • 블록체인 기술 사용

블록체인

  • 블록: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의) 거래 내역이 적힌 장부
  • 체인: 블록들을 서로 연결지어 보관하는데, 이 연결을 체인이라 함.
  • 모든 거래자의 거래 장부를 모두가 공유하는 방식
  • 거래 내역을 중앙 서버가 아니라, 수 많은 서버에 동시에 나눠 보관한다면 어떨까? (수 많은 동일한 기록들이 수많은 다른 서버에 저장(수만명의 사람들의 장부에 동시 기록됨))
    • 기록이 조작 or 해킹 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코인 전망

기존 화폐에 대한 불신

  • 기존 화폐
    • 2008년 이후로 화폐 계속 찍어내면서, 화폐의 가치 자체가 낮아지고 있다.
    • 환율이 올랐다 내렸다 -> 두 화폐를 비교한 값에 불과.
    • 특정 국가의 화폐는, 전쟁 등이 일어나게 되면 매우 큰 타격을 받는다.
  • 코인
    • 특정 국가의 화폐가 아님

디지털 금?

  • 코인은 발행량이 정해져 있다. (예: 비트코인 총 발행량 2100만 개)
    • 코인의 수량 증가로 인해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없다.

코인 위험성

  • 중앙 권력에 의해 통제되는 시스템이 아니기에, 주 7일 24시간 거래가 가능
  • 아직 사람들에게 신뢰를 주지 못함
  • 비트코인의 거래소가 해킹당하거나 파산당할 가능성도 있다. (피해 보상 법규가 잘 마련되어 있지 않음)
  • 중앙 권력을 지닌 국가(ex. 미국) 혹은 거대 은행들이 견제할 가능성 존재

비트코인 VS 이더리움

  • 비트코인

    •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것
    •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최초의 가상화폐
  • 이더리움

    • 시가총액이 두번째로 높은 것
    • 화폐에 계약 시스템을 추가한 개념
  • 본문

    • 비트코인: 전화기
      • 전화 주고 받는게 끝
      • 돈 거래만 가능
    • 이더리움: 스마트폰
      • 전화 외에,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기능 사용 가능
      • 돈 거래 외, 스마트 계약이 가능
        • 스마트 계약
          •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가상 화폐가 자동적으로 이체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계약을 통해 여러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운영체제도 제공하고 있음 ( 그 모든 거래를 이더리움이라는 가상화폐로 함)
          • 게임을 만들 수도 있고, SNS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만들고 운영 가능
          • 예: 치킨이 30분 내에 배달되어야만, 식당 주인은 돈을 받을 수 있도록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을 적용할 수 있다.
          • 이는 특별하지 않아 보일 수 있는게, 배민은 이미 검증 기능을 함(치킨집이 실제로 있는지, 주문을 제대로 시킨게 맞는지 검수 등등)
            • 하지만, 배민은 수수료를 받고 있고,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증인이 되어 스마트 계약을 지켜주기 때문에 검증 수수료가 없다.

NFT (Non-Fungible Token)

개요

  • 고유성을 지닌, 대체 불가능 토큰
  • 토큰
    •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특정 자산
    • 어떤 자산이건 간에, 그 소유권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토근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 자산 예: 사진/음원/예술 작품
  • 디지털 상품의 원본과 복사본을 구분할 수 있게 되어, 창작자의 수익 흐름을 지켜줄 수 있다는게 핵심
  • 복사본이 많아질수록, NFT로 기록된 원본의 가치가 더 커질 수 있다.

인기 상승 이유?

  • 투자 가치가 있다는게 증명되고 있음
  • 비대면 시대가 찾아왔다. -> 가상 공간에서 거래되는 디지털 상품의 가치가 상승
    • 예술가들의 대면 수입원이 상당 감소 -> 디지털 작품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기술이 각광

전망

  • 창작자의 권한 강화
    • 예: 현재 가수들
      • 유명 레이블 or 저작권 협회의 영향 아래서, 수익을 나눠 가질 수 밖에 없음
    • NFT는 창작자가 바로 소비자들에게 앨범이나 곡을 판매할 수 있음
profile
"짧은 주기의 피드백"과 "실수를 교정할 기회"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6월 5일

NFT도 구매하셨나요??

답글 달기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