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회차]CMA & MMF & MMDA

About_non_work·2023년 6월 2일
0

LV1

예적금


LV2

CMA (Cash Management Account)


  • 3달 전 금리, 6개월 전 금리, 1년 전 금리, 3년 전 금리
  • 은행 보통 계좌 <-> 증권사/종금사의 CMA 계좌

  • CMA

    • 고객으로부터 예탁받은 돈을 -> 어음 및 채무증서 등에 운용하여 -> 그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

      • 어음
        • 어음은 지불의무를 나타내는 금융 도구
        • 일반적으로 상인들이 상거래나 금융거래에서 사용하며, 특히 채권 형태의 금융상품
        • 어음은 채권자인 발행인이 어음의 수취인에 대해 일정한 금액을 지불할 것을 약속하는 서면
    • CMA의 종류

      • 증권사에서 발행 (MMF/ RP/ 발행 어음 모두 단기 1년 이내 상품들)

        • MMF형: 실적 배당 (정해진 금리 아님)

          • Money Market Fund
          • M: 증권사
          • MM: Money Market
          • 언제 활용해?
            • 연금저축계좌에 현금이 발생한 경우 - MMF 구매
            • 연금저축계좌는 금융상품 거래가 안됨 -> RP 구매 안됨
          • MMF는 정해진 기간동안 투자하는 상품이 없다.
        • RP형: 확정 금리

          • 증권사가 망하면, 이 채권을 팔면 된다.

          • 증권사(M)와 거래

          • 환매조건부채권 = 환매를 조건으로 걸고있는 채권

            • 환매
              • 투자상품이나 금융상품을 보유한 투자자가, 해당 상품을 원금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판매하거나 되돌려 받을 수 있는 것
          • 일반인들이 국채, 회사채 같은 채권을 거래하려면 거액이 들고, 장기적으로 넣어놔야 함.

            • 환매조건부채권 = 금융기관에서 국채에 투자하여 가지고 있는 채권을 -> 쪼개서 -> 일반 투자자들에게 판매
        • 발행어음: 확정 금리

          • 담보가 없으므로, 초대형 증권사만 가능 (NH 투자증권 / 한국투자 증권/ KB 증권)
          • 담보가 없으므로, 이자가 조금 더 높음
          • 발행어음
            • 금융회사가 영업자금 조달을 위해, 자체 신용으로 어음을 발행하여 -> 일반 투자자에게 매출하는 형식의 1년 미만 상품
      • 종금사에서 발행

        • 종금형: 확정 금리
      • 언제 활용해?

        • 이자가 높으니까, 초대형 증권사면, 발행어음형 CMA 가자.
        • 이미 RP형 CMA로 가입했더라도 -> 발행어음형으로 바꿀 수 있다.
  • 종금사 CMA만 예금자보호 / 원금보장 (5000만원까지)

  • RP / MMF / 채권 등에 투자한 이자를 받아서, 우리에게 주는 것

  • CMA는 증권사에서 가입 가능.

  • 장점

    • 이자를 매일 준다. (정확히는 일복리/월복리 2개가 있음)
    • 이자율이 좀 더 높다.
    • 투자를 바로 할 수 있다.
      • 펀드, ELS, RP, 발행어음 등을 CMA에서 바로 구매 가능
      • NH투자증권 / 신한금융공사 : 주식을 살 수도 있음
        • CMA 위탁 종합 계좌
    • 카드결제/자동이체 가능하다.
    • 수수료가 없다.
  • 최신 동향

    • 수익률 대략 3.4%
    • https://www.rca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59
    • 이렇게 CMA에 자금이 몰리는 이유는 올해 초만 해도 저축은행 파킹통장의 금리가 최대 5%대였으나 현재는 2~3% 수준으로 떨어진 반면, CMA 수익률은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받아 지난해 1%에서 현재 3%대로 올랐기 때문입니다.

MMF (Money Market Fund)

  • Fund
    • 펀드는 투자자들의 자금을 풀어서 투자 전문가들이 해당 자금을 관리하고 다양한 자산에 분산하여 운용합니다.
    • 이러한 자산은 보통 주식, 채권, 부동산, 현금 등 다양한 유형의 자산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MMF는 증권사/은행 에서 둘 다 가입이 가능
    • 은행에서 가입 시, 은행 입출금 통장이랑 연결계좌로 사용할 수 있음
  • MMF
    • 고객의 돈을 모아, 주로 금리가 높은 단기금융상품에 집중투자하여 얻는 수익을 되돌려주는 실적배당 상품
      • 보통 안정적인 채권에 투자 (만기가 얼마 남지 않은 국채/지방채/회사채 등)
      • 보통 확실하게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곳에만 투자를 한다.
    • 손실이 이론적으로 날 수도 있으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99.99% 않는다.
    • 원금보장 안됨.
  • 최신 동향

MNDA

  • 단기예금상품

  • 시장 실세 금리에 의한 고금리와 자유로운 입출금 및 각종 이체, 결제기능이 결합된 상품으로 단기간 목돈을 운용할 때 유리한 예금

  • MNDA는 일정 금액의 잔고가 유지되어야만 이자가 붙고, 일정 금액에 도달하지 못하면 수수료를 물게 됩니다.

  • 이자율은 매일의 잔액을 기준으로 잔액별 차등금리를 적용합니다.

  • 언제 활용해?

    • IRP에서 RP 대신 활용

LV3

전단채

RP

  • RP 형 CMA는, CMA의 돈을 증권사가 자동으로 RP를 매수해줘서 수익률을 얻는 것
  • 주식 계좌에서 직접 RP를 매수할 수도 있다.

LV4

P2P


LV5

ELD

ELS

ELF


LV6

적립식 펀드

profile
"짧은 주기의 피드백"과 "실수를 교정할 기회"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