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_non_work.log
로그인
about_non_work.log
로그인
분양가 상한제 논란
About_non_work
·
2024년 3월 1일
팔로우
0
0
부동산
목록 보기
11/18
1. 재건축, 재개발 위축 및 조합원 재산권 침해
분양가상한제는 공공택지와 민간택지에 모두 적용
공공택지: 국가가 개발한 땅으로, 주로 신도시나 택지지구에 해당
민간택지:
주로 재건축, 재개발 지역에 해당
민간택지에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하면, 재건축, 재개발 사업의 수익성이 감소
이는 조합원들의 부담이 증가하고, 사업 추진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
이로 인해 일부 조합원들은 사유재산 침해라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주택 공급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
2. 청약 경쟁률 과열 및 집값 안정 실패
로또 아파트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크게 낮아서 해당 아파트는 로또 아파트로 취급되어 청약 경쟁률이 높아집니다.
이로 인해 가점이 낮은 젊은 층이나 미혼 층은 청약이 사실상 불가능해짐
공급 감소:
분양가가 낮아지는 만큼, 건설사들은 아파트 건설을 줄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신축 아파트 공급이 감소하고, 신축 아파트 수요는 증가
분양 이후의 시세 상승:
분양가상한제는 분양 이후의 시세에 상한선을 두는 제도가 아닙니다.
이로 인해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은 아파트의 시세가 폭등하는 경우가 있음
3. 건설비용 상승으로 인한, 공사 중단 가능성
2022년 기준으로 건자재와 인건비, 유류 가격이 폭등하면서 기존에 책정된 단가로는 공사가 불가능하게 됨
협력업체 등에서 건설비를 올려달라는 요구가 빗발치면서 공사를 중단하거나 아예 위약금을 치르고 공사를 포기하겠다는 업체가 나오고 있음
About_non_work
"짧은 주기의 피드백"과 "실수를 교정할 기회"
팔로우
이전 포스트
공시지가 (공시한, 단위면적당 토지 가격)
다음 포스트
HUG 분양보증
0개의 댓글
댓글 작성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