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 이 포스트를 읽기 전 Node.j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React-native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React-Native-CLI는 어떠한 툴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React natvie만을 이용해서 개발하는 방식이다. 초기
※이 포스트에서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React Native로 웹뷰 앱을 개발하던 중 휴대폰의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면 앱이 바로 종료되는 현상이 있었다. 그 현상을 방지하고 뒤로가기 버튼을 눌렀을 경우 웹뷰의 페이지가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고 더 이상
※ 이 포스트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앱을 실행하였을 때 앱 로딩되는 사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를 말한다. 보통 앱이 로딩 중일 때 사용된다. Expo 라이브러리에서 Splash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한다.다음 명령어를 사용하
React Native를 시작하는 방법은 React-native-cli와 Expo 프로젝트로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Expo를 활용하여 간단한 웹뷰 앱을 만들어보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React Native CLI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생성 및 시작하
※ 이 포스트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Expo를 활용하여 웹뷰 앱을 개발하고 테스트를 하던 중 앱을 실행하면 모바일의 상태바가 사라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는 중 배터리 상태나 알림 및 시간 확인 등을 하기 위해 앱에서 상태바가 표
※ 이 포스트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웹에서 특정 사용자한테 푸시 알림을 보내는 기능이 필요하였다. 푸시 알림은 다양하게 활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에서 관리자가 공지사항 글을 게시하였을 경우에 사용자는 앱에서 알림을 통하여 해당 게시글을 푸
※ 이 포스트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웹에서 버튼을 눌러 웹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공부 중이였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푸시 알림 형태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것 같았다. 웹뷰와 웹간의 통신하는 방법은 간단하
※ 이 포스트는 yarn 및 React Native CLI와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하였다.웹에서 탭 및 드로어 네비게이션을 구현할 수 있지만 해당 방법으로 개발하면 웹을 로드할 때 해당 네비게이션들도 다시 로드해야 하므로 페이지 로드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
※ 이 포스트는 expo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이 전 포스트에서 React Native CLI를 사용하여 생성한 프로젝트의 탭 및 드로어 네비게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한 적이 있다. 필자의 경우에는 앱의 스플래시 이미지와 ios앱의 빌드 등 여러가지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폰트 크기 설정으로 인해 앱 디자인이 이상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모바일 앱 특성상 사용자의 폰트 크기 설정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 이를 막는 것은 매우 좋지 않은 해결방법이다. 하지만 프로젝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