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에 얻은 자신감은 전부다 파사사사사삭,,,,, jsx를 변환하고, 직접 diff 알고리즘을 통해 직접 렌더링을 시키는 것을 하는 2주차~~~
그래도 그래도 jsx를 변환하는 쪽은 그나마 괜찮았는데, diff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이벤트를 root에 위임해서 동작시키는 것은 그저 죽을맛 그 자체였
그저 미쳣다 이건,,, 공부하면 할수록 느껴지는 나의 부족함,,, 아주 죽을 맛이었다.
과제의 기본 세팅도 되잇었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어려웠다. 그나마 jsx부분이 jsx형식을 우리가 사용하는 HTMLElement로 변환하는 부분까지는 괜찮았다. 사실 어려웠지만
그 다음 것을 진행하니까 그저 선녀,,,, 그 다음 diff알고리즘을 통해 변경해야 하는 부분들만 변경되는 이 부분부터 머리가 아프기 시작했다. 그리고 시작된 재귀함수와 무한 비교,,, 그리고 이벤트 등록과 해제 여러가지 등등등,,,, 정말 어려움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어려움이었다.
피치못할 어려움도 있긴 했지만, 팀원의 도움으로 어찌어찌 제출했다,,!
React의 렌더링에 대해 어느정도 알게 된 것 같다. 어떻게하면 최소한의 렌더링을 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도 좀 더 생산적으로 하게 된 것 같고 이벤트관리를 할때 처음으로 자바스크립트의 Map자료구조를 사용해 봤는데, 나중에 잘 쓰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React자체의 이해도가 좀 올라간 느낌은 받았다. 그리고 이걸 만든 사람들은 정말 미친것같다,,, 잘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많이 느낀 것은 내가 그동안 사용했던 React는 반쪽짜리가 아니었을까,,? 라는 생각들이었다. 당연하게 그렇게 되는거지 라는 것에 대한 이유를 차츰차츰 알게 되니, 전반적으로 개발에 대한 생산성이 어느정도는 높아지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이번에는 다른 분들의 과제도 많이 봤는데, 와 잘하는사람은 정말 많고 같은 구현 내용이어도 풀어내는 방식이 다른 것을 또 한번 느꼇다.
1주차와도 비슷한데, 스스로 생각이 너무 많은 것,,! useState도 직접 구현하는 줄 알고 엄청난 삽질을 많이했다. 그리고 코드에서 순서가 틀린 부분이 2가지가 있었는데 이 부분만 아니었다면 지금처럼 고통받지는 않지 않았을까 생각을 한다. 아무래도 꼼꼼함과 복잡한걸 단순하게 하는 것을 잘 챙겨야 겠다.
재미 너무 있었다. 같이 과제하는 중에 실성한 사람처럼 웃기도하고~ 그래도 중간에 그만둘 생각은 한번도 안한게 신기할따름,,,,~
기초부터 차근차근이라는 말이 정말 중요하다는걸 계속 느끼는 것 같다! 3주차도 한번 재밌게 해보자
?? : 삽질하셨던 useState는 다음주 과제였다고 함니다.. (담주도 so 막막 but happy.. because pro 보필러 태영님과 함께니께) 화잇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