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n

sumi Yoo·2023년 1월 18일
0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SVN 세팅

SVN 설치 및 환경설정

https://www.visualsvn.com/downloads/
위 사이트로 들어가서 svn파일을 다운로드 해준다.

맨 위 파란색 아이콘을 가지고 있는 것을 다운로드 한다.

압축을 푼다.

Version Controll > Subversion 에 경로를 맞춰준다.
해당 폴더 안에 있는 svn.exe 까지 지정해준다.

SVN 커밋(Commit) 하기


따로따로 commit을 하고싶으면 해당 파일들을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으로 진행해 주면 된다.

  • 위 > 변경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커밋할 대상들을 체크 및 언체크 해주면된다.
  • 중앙 > Comment 로그를 기록하는것이다 보통 svn history log에 기록된다.
  • 아래 > 기존에 있던 부분에서 어느부분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비교해주는 부분이다.
    commit을 눌러주면 작업 완료

SVN 용어

Repository : 저장소

서버에 올라가 있는 저장소로 URL 이 있는 모든 사용자가 '접근'이 가능하다.

Revision : 리비전

저장소에 올라가 있는 파일들의 버전으로, 리비전 숫자는 commit 행위를 할 때마다 올라간다.

Trunk : 트렁크

해당 저장소의 중심
중심에서 전체적으로 에러가 없이 잘 돌아가는 소스코드

Branch : 브랜치

브랜치는 그 트렁크에서 기능 추가, 수정을 하기 위해 가지로 뻗어 나와 있는 기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소스코드이다.

Tag : 태그

여러 브랜치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트렁크에 대해 어느 특정 지점을 기록하기 위한 꼬리표
주로 상용 서비스에서는 Release 단위에 따라 태그를 붙이는 편이다.

Checkout : 체크아웃

체크아웃은 초기에 원격 저장소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소스코드를 내 PC 로 내려받는 것을 의미한다.(Git 의 Clone 과 동일함)

Import : 임포트

원격 저장소에 버전 관리할 소스 코드를 넣는 것(git의 push와 동일)

Export : 익스포트

원격 저장소에서 소스 코드를 가져오는 것(git의 pull와 동일)

Commit : 커밋

커밋은 원격 저장소에 변경된 변경 사항들을 저장하는 것
커밋을 하게 되면 저자(Author)와 커밋 메시지, 일자와 일시가 찍히고 리비전이 갱신된다.

Update : 업데이트

원격 저장소에서 다른 사람에 의해 변경된 소스 코드를 내 PC 에 반영하는 작업이다.
업데이트는 수시로 해주는 게 좋다.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커밋을 하기 전에는 필수로 해준다.

Revert : 리버트, 롤백

내 PC 에서 수정했던 작업 내역을 되돌리는 작업이다.

Merge : 머지, 병합

내 브랜치와 다른 사람이 작업해 둔 브랜치를 합치는 작업
업데이트 시에는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작업이다.

Conflict : 컨플릭트, 충돌

동일한 파일 다른 내용

Lock : 락

락을 건 사용자만 해당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unlock 을 해주자.

Diff : 디프

현재 소스 코드 대비 특정 리비전의 소스 코드와 차이점을 볼 수 있다.

Add : 추가

원격 저장소에 커밋하기 위해 VCS 목록에 추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Ignore : 이그노어

Add 와는 반대로 커밋 목록에서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https://fall-in-it.tistory.com/12
https://m.blog.naver.com/swoh1227/221979333651
https://hydroponicglass.tistory.com/160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