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ocker Login 커멘드 창에서 도커에 로그인한다. ID는 이메일 아님 2. Repository 레파지토리를 설정한다. 3. Push
나중에 텐서플로우 모델을 만들어서 모델을 배포하려고 하는데, 아주 편리한 방법 중에 하나가 Docker를 사용해서 배포하면 좋다고해서 도커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을 정리해본다.(1) 도커파일 만들기(2) 우분투 안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할 수 있는 환경 만들기(3)
오늘은 우분투 18.04 LTS에서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해봐야겠다. 일단 터미널을 열고 다운로드 받으니까 복잡한 방법은 아니고, 도커 홈페이지 가이드를 참고하니까 금방 마무리된 것 같다.64 비트이면 아래 중 하나면 사용 가능하다.Ubuntu Kinetic 22
도커 설치 도중에...집 컴퓨터는 윈도우 11이라서 이런 문제 안생기던데,작업용 컴퓨터는 윈도우 10이라서 WSL 2 설치문제가 있다.파워쉘 오른쪽 마우스 눌러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된다.복잡한 것은 아니고 파워쉘에 복사해서 붙여 넣어주면 된다.아래 명령어를 복사
오늘은 앙상블과 세부 기법들에 대해서 정리해본다. 각각의 기법들의 특징들을 정리해보면 어떤 것을 방향과 목적으로 인공지능 모델들이 학습되는지에 대한 좀 더 깊은 생각을 할 수 있지 않을까하고 정리해보았다.앙상블 학습은 개별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다양한
단기예보 공공데이터 API를 사용해서 날씨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단기예보 조회서비스 활용 신청하면 참고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먼저 단기예보 데이터 중에서 '초단기실황조회'를 해보기로 했다. Callback URL주소에 초단기실황조회를 쓴다.(표에서
데이터베이스 접속 방법을 생각하는 중에 클래스 하나를 간단하게 만들어보았다.ms 홈페이지에서 제공해주는 접속 방법을 활용해서 만들었다,서버주소, 데이터베이스 이름, 유저 이름, 암호, 쿼리텍스트를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면된다. 접속 자체는 간단하지만, 데이터 베
MSSQL을 파이썬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듈을 다운 받아야 한다.하지만 C++ 컴파일러 버전이 안맞으면 파이참에서 안깔리는 문제가 발생한다.(pip 업그레이드도 해보고, 각종 방법들을 해봐도 안될 것이다.)아래 주소로 가서 pymssql‑2.1.5‑cp39‑cp39‑
여러가지 알고리즘을 만들다보면 먼저 개발이 완료된 클래스의 함수 값을 가져와서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다.간단한 예제를 사용해서 연습하면 빠르게 오버라이드를 이해할 수 있다.Optimal 클래스는 Multi 클래스의 부모 클래스이다. Multi 클래스는 Optimal
제어 노드 관련된 연구를 하다보면, 노드 맵을 그려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networkx 모듈을 사용해서 그림을 그리면 노드 그래플 간단히 그릴 수 있다.(엣지를 그리다보면 노드는 자동으로 등록이 될 것이다.)print 출력값을 확인해보면첫번째 줄에 나오는 것은 엣지들
개발을 하다보면 클래스 안에서 사용했던 값들을 클래스 밖에서 읽고 싶을 것이다. 그런데, 그냥 불러내면 어처구니 없이 그냥 객체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럴 때 값을 읽어낼 수 있도록 하는게 데코레이터이다.단순히 데코레이터를 이해할려고 하면 생각보다 시간이 오
맥북에서 볼트론을 실행시킬려면 손이 좀 간다.ㅠㅠ가상 환경 Volttron 프로젝트 안에 .env/bin 안에 있는 파이썬 3.6을 사용해서 bootstrap.py를 실행시키면 볼트론 실행할 때 필요한 vctl, vcfg 등 많은 파일들이 생성된다..env/bin/ac
ActiveMQ 설치 및 실행 방법내 컴퓨터는 확인해보니까 JDK 14.0.1 이었다.컴퓨터는 JDK 버전만 맞추면 생각보다 설치가 쉽다. activemq 홈페이지 가서 찾아보니 apache-activemq-5.15.12 버전이 호환이 된다.구글에 입력해도되고, htt
historian 에이전트를 사용해서 데이터 베이스 파일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sqlite3를 설치해야한다.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sqlite3 설치하기버전 확인
볼트론 작동할 때는 timezone이 맞춰져 있어야 한다. 보통은 우분투를 설치할 때 설정하지만, 만약에 설정을 대충하고 넘어가서 갑자기 볼트론이 작동하지 않는 상황도 생긴다.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아래 명령어를 쓰면 현재 무슨 타임존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이 글은 csv 같은 파일에 시계열 데이터를 순서대로 불러고 싶을 때 사용하는 Data publisher에 대한 설명한다. 1.Data Publisher Agent 데이터 퍼블리셔 에이전트(Data Publisher Agent) : 시계열 파일(csv 파일)과 같이
가상환경 열어서 패키지좀 새로 깔아볼려했더니 이제는 pip도 말썽이다. 그래서 정리를 해보았다. 생각보다 간단히 해결되었다.이 메시지가 뜨면 pip 버전을 확인해도 없다고 뜬다. 곡할 노릇이다. 심지어 조금 전만해도 작동되서 뭔가를 깔아썼다.이것 해서 깔아져있는지 확인
이 글은 계속 까먹어서 잊어버리지 않게 메모하려고 작성을 한다. 환경을 이미 갖춰논 상태에서는 많이 건드릴 필요가 없어서 손을 안댔지만, 간혹가다가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 받아야 하는데 터미널 창에서 다운받을 필요가 있다. 몸에 익혀두고 제발 까먹지 말자 이제요약 : 아
자연어 처리에 사용되는 아주 간단한 개념에 대해서 정리한다.자연어 처리 중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시퀀스를 만들어내는 작업이다. 보통 고정된 길이의 연속된 토큰(Token) 시퀀스를 N-그램(N-gram)이라고 한다.유니그램 : 토큰 1개로 이루어진 연속된 시퀀스바이그램
에너지 관련 알고리즘을 개발하다보면 물성치를 찾아야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하지만, 센서값으로는 엔탈피나 엔트로피 같은 물성치를 찾기는 어렵기 때문에 Coolprop을 활용하여 냉매의 물성치를 손쉽게 찾는다.핵심은 CoolProp을 사용했을 때 단위가 어떻게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