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원과 전류원 (전원변환, 밀만의 정리)

myblack·2024년 11월 27일
0

회로이론

목록 보기
4/8

전압원과 전류원

독립전원 : 회로에 있는 전압 전류에 의지하지 않고 전압 전류를 확립
종속전원 : 회로 내부의 다른 전압이나 전류에 의해 결정되는 전원

전압원

  • 전위차 발생시키는 전원.

특징

  • 회로는 단락취급 (내부저항 0) -> 전류 흐름을 방해 X
    전압원 + 내부저항 [직렬임피던스] - 전압의 손실 표현

  • 내부저항에 의해 부하저항이 커질수록 전압원 출력 커짐.
    부하저항이 내부저항보다 20배 이상 커야 Ideal에 가까워짐

  • 다수 전압원 직렬 연결시 전압원들의 총합값 출력
    병렬 연결시 같은값이면 그대로 출력됨
    다른값이면 두 전압원의 차만큼 전위차, 저항없이 흐를시 쇼트 발생

독립 전압원

  • 두 개 단자 사이의 전압이 고정되어 안바뀜, 전류는 무슨 값이든 가능
    V = IR 에서 전류가 아무리 변해도 전압값 고정
    회로 임피던스는 0으로 간주할 수 있음. 선형회로 해석시 독립전압원 단락

전류원

  • 전류를 일정하게 발생시키는 전원.
    전류원이 있는 선로는 전류원의 전류값으로 고정됨.

특징

  • 회로는 개방취급 (내부저항 무한대)
    다른 전원이 연결되어도 전류 값 변화 X
    전류원+내부저항 [병렬임피던스] 구성 - 전류의 손실 표현

  • 내부저항에 의해 부하저항이 커질수록 전류원 출력 작아짐.
    내부저항이 부하저항보다 20배 이상 커야 Ideal에 가까워짐

  • 다수 전류원 직렬 연결시 회로 동작 X [Short].
    병렬 연결시 같은 방향이면 더하고 다른방향이면 빼면 된다.

독립 전류원

  • 두 개 단자 사이의 전류가 고정되어 안바뀜, 전압은 무슨값이든 가능
    V / I = R 에서 전압이 아무리 변해도 전류값 고정
    신호의 전류가 회로로 하나도 들어가지 못함 = 회로 임피던스는 무한대로 간주할 수 있음.
    선형회로 해석시 독립전류원 개방

전원변환

  • 저항과 직렬로 있는 전압원을 같은 저항과 병렬로 있는 전류원으로 상호변환

밀만의정리

  • 다수의 전원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시 간단하게 나타내는 기법

전압원

전류원

전압원 변환

Ref
https://blog.naver.com/ssungk1212/221958757609
https://m.blog.naver.com/lkuyun1/221879675303

https://moomoodevelopment.tistory.com/entry/%EA%B8%B0%EC%B4%88-%ED%9A%8C%EB%A1%9C-%EC%9D%B4%EB%A1%A0-9-1-%EC%A0%84%EC%95%95%EC%9B%90%EC%9D%98-%EA%B0%9C%EB%85%90%EA%B3%BC-%EC%97%B0%EA%B2%B0-feat-%EC%87%BC%ED%8A%B8-%EC%9E%84%ED%94%BC%EB%8D%98%EC%8A%A4
https://moomoodevelopment.tistory.com/entry/%EA%B8%B0%EC%B4%88-%ED%9A%8C%EB%A1%9C-%EC%9D%B4%EB%A1%A0-9-2-%EC%A0%84%EB%A5%98%EC%9B%90%EC%9D%98-%EA%B0%9C%EB%85%90%EA%B3%BC-%EC%A0%84%EC%9B%90%EB%B3%80%ED%99%98

https://www.youtube.com/watch?v=LGhRgCOkqTU&list=PLxbNjw4I3SthKGLfu9bt3-6Wztyp3w36i&index=6

profile
기록과 분석, 이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