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회로

myblack·2025년 1월 22일
0

회로이론

목록 보기
7/8

EMI(전자기 간섭) & EMC(전자기 적합성)
전자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전자기 간섭(EMI)을 최소화하고, 전자기 적합성(EMC)을 준수해야 한다.

EMI 전자기 간섭

  • 전자기 간섭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란 한 전자기기에서 발생한 전자기파(전기장/자기장)가 다른 기기의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현상. EMI가 심하면 신호 오류, 노이즈 발생, 기기 오작동 등의 문제 발생

EMI의 주요 원인

  • 스위칭 노이즈(Switching Noise)
    고속 신호 전송 및 고전류 스위칭 시 발생하는 간섭.
    예: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인버터, 모터 드라이버 등.
    PCB 설계 문제

  • 트레이스 길이가 길거나 신호 라우팅이 잘못되면 EMI가 증가.
    신호가 빠른 클럭(Clock) 또는 고속 디지털 신호일 경우 EMI가 심해짐.
    무선 신호 간섭 : Wi-Fi, Bluetooth, 4G/5G 등의 RF 신호가 다른 전자 기기에 영향을 줌.
    외부 환경 요인 : 고압 송전선, 전기 모터, 레이더 등의 강한 전자기파가 전자 기기에 영향을 줌.

EMI의 유형

  • 전도성 EMI (Conducted EMI)
    전력선이나 신호선을 통해 전파되는 간섭.
    전원선(AC/DC)이나 PCB 트레이스를 따라 전파됨.
    해결 방법: 필터링(Ferrite Bead, LC 필터, EMI 필터)

  • 복사 EMI (Radiated EMI)
    공기 중으로 방사되는 전자기파가 다른 기기에 영향을 줌.
    해결 방법: 실드(Shielding), 접지(Grounding), PCB 레이아웃 최적화

EMC 전자기 적합성

전자기 적합성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서 다른 기기에 간섭을 주지 않고, 외부 간섭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능력

EMC의 주요 목표

  • 전자기 방출(EMI Emission) 최소화
    기기가 외부로 방출하는 EMI를 줄여 다른 기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
    전자기 내성(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향상
    외부 EMI에 의해 기기가 오작동하지 않도록 보호.

EMC 테스트 종류

  • 전도 방출(Conducted Emission, CE) 테스트
    전원선 및 신호선을 통해 전파되는 EMI를 측정.
    복사 방출(Radiated Emission, RE) 테스트

  • 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EMI를 측정.
    전도 내성(Conducted Immunity, CI) 테스트

  • 전원선에 노이즈를 주입하여 기기의 내성을 확인.
    복사 내성(Radiated Immunity, RI) 테스트

  • 외부에서 강한 전자기 신호를 가해 기기의 동작 여부를 확인.
    정전기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 테스트

정전기 충격(수 kV 이상)에도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EMI FILTER

EMI 필터는 전자기 간섭(EMI)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
전원선이나 신호선에 침투하는 외부 전자기파(노이즈)를 차단하거나 감소
반대로, 회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외부로 나가는 것도 막아줌

EMI 필터의 구성 요소
인덕터 (코일): 고주파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콘덴서 (커패시터): 고주파 노이즈를 접지로 우회시켜 제거합니다.
보통 LC(인덕터 + 커패시터) 조합으로 구성돼 있어요.

  • EMI FILTER CIRCUIT
  • 수동 부품을 사용한 일반적인 EMI 필터 유형

RC 필터회로

RC LPF (Low Pass Filter)

Low pass filter는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 특징:
    차단 주파수 이하 통과
    커패시터가 고주파 성분을 접지로 보내며 필터링

  • 키르히호프 전압법칙에서 유도

  • Laplace로 S-domain으로 변환
  • 전달함수 (시정수 τ=R⋅C)
  • 위 회로에서
    Vout = Vin * Xc ( R + Xc )
    이므로 간단하게 표현하면
    Vout = 1 / (1 + jwRC) * Vin 이다. (w = 2πf)
    wc-> ∞ 로 간다면 고주파수에서 0 으로 수렴한다.

파형

  • 저주파 대역에서는 전압이득이 최대 전압이득값이 유지 되며 저주파 차단주파수 이후로는 전압이득이 감소, 출력값이 줄어듬.
    저주파 차단주파수 ωc는 전압이득보다 -3dB만큼 낮은 지점에서 형성.

  • 차단주파수 : 전력이 1/2가 되는 주파수 지점.
    전력식 dB화 10log(출력전력/입력전력)
    출력전력/입력전력 0.5일때 10 log(0.5)= -3dB. (0.707V)

RC HPF (High Pass Filter)

  • High pass filter는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저주파 신호를 차단시키는 필터

  • 특징:
    커패시터가 저주파 성분을 차단
    고주파는 저항을 통해 출력으로 전달됨

  • Vi = Vo x R / (R + C) 이고, 이 식을 임피던스 측면에서 해석을 하면,
    Vi = Vo x R / (R + 1/jwC) 로 나타낼 수 있다.
    Vi = Vo x (jwRC / jwCR + 1) 에서 주파수가 무한히 크면 1에 달한다.

  • 파형

RC 회로 차단주파수

  • 차단주파수
  • 시정수( ime Constant)는 회로의 시간적 응답 특성.
    완전히 응답되기까지의 소요시간
    회로에서 최종값의 63.2% 에 도달하는 시간이 시정수
  • 시정수 : τ=R⋅C, τ=R/L

LC필터회로

LC LPF

저역 통과 필터(LPF)는 DC 및 저주파 신호를 통과시키고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는 필터 회로

  • 동작 원리 :
    인덕터는 고주파를 막고 저주파를 통과
    커패시터는 고주파를 접지로 보내 차단

LC HPF

고역 통과 필터(HPF)는 DC 및 저주파 신호를 차단하고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키는 필터 회로

  • 동작 원리 :
    커패시터가 저주파를 차단
    인덕터가 고주파를 통과시켜 출력

LC BPF

회로 구성 (직렬 공진형)

  • 대역 통과 필터(BPF)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다른 주파수의 신호는 차단
    특정 주파수(공진 주파수 f0)에서만 통과하고 그 외는 차단

능동필터회로 (Active Filter)

  • 이득이 있는 필터, OP-AMP를 이용해서 구성
    저주파 (10kHz) 영역에서 많이 사용
    인덕터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구성

장점 : 높은 전압이득, 높은 입력 임피던스, 낮은 출력 임피던스,
부하가 내부 회로와 절연이 되어있어 부하 변동은 필터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단점 : DC 전압이 필요, OP-AMP의 주파수 응답에 따라 고주파 사용이 제한.
전원 공급 장치의 변경으로 출력 신호 크기가 변경될 수 있음.
피드백 루프가 진동 및 노이즈 생성에 기여

능동 필터와 수동 필터 차이점

수동 필터는 신호의 에너지를 소비하지만 전력 게인은 없다. 활성 필터에는 전력 이득이 있음

능동 필터에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지만 수동 필터는 신호 입력에서만 작동

수동 필터만 인덕터를 사용

활성 필터만 활성 요소인 opamp 및 tr 사용

이론적으로 수동 필터에는 주파수 제한이 없고 능동 필터에는 활성 요소로 인해 제한

패시브 필터는 안정성이 높고 큰 전류를 견딜 수 있다.











Ref
https://m.blog.naver.com/lagrange0115/220659006305
https://www.ariat-tech.kr/blog/detailed-analysis-of-rc-series-circuit.html
https://amanan1004.tistory.com/36
https://yeji1214.tistory.com/30
https://industrial.panasonic.com/kr/ss/technical/b4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EMI-filter-structure-common-mode-and-differential-mode_fig2_251992627
https://resources.altium.com/kr/p/what-types-emi-filters-are-best-passing-emc-certification

profile
기록과 분석, 이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