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j1JlCQfm9hU나꼬쌤의 플러터강의를 보고 정리한 글 입니다생각보다 flutter를 시작할 때 설치할 부분이 많습니다.먼저 저는 Chocolatey를 사용해서 flutter를 다운로드 받았습니다.커맨
flutter를 완전히 처음 시작하면서 정리한 글 입니다.먼저 flutter create를 한 후, lib/main.dart 의 모든 내용을 삭제합니다. 그리고 다음의 코드로 대체하겠습니다. 위 코드의 실행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쉽게 코드의 내
react에 redux, vue에 vuex가 있다면, flutter에는 Provider가 있습니다!전역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입니다.먼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앱을 만들었습니다.전역으로 사용할 model을 만들어 줍시다!최상위 widget을 Provider로 감싸줍시다.
flutter에서 커스텀 위젯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GradientContainer라는 위젯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class를 생성해주어야 합니다. 이번에는 StatelessWidget으로 생성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기본적인 class가 생
플러터에는 크게 StatelessWidget 와 StatefulWidget 2종류의 위젯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StatelessWidget은 변화가 필요없는 화면을 구성할 때 사용하는 위젯 클래스이며, build 메서드는 한 번만 호출됩니다.위의 화면을 예로 들면,
기존의 네이티브 앱들은, os에 의존하여 화면을 렌더링 했습니다. os에게 text input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면 os의 text-input이나 button등을 만들어주는 형식입니다. 하지만, flutter는 os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크로스플랫폼
플러터에서 text-input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속성값으로는 maxLength, decoration, keyboardType 등이 있습니다.그렇다면 TextField의 값은 어떻게 사용할까요?먼저 고전적인 방법부터 사용해 보겠습니다.변수를 생성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