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은 리눅스의 창시자 리누스 토르발스가 만든 분산 VCS를 말한다. Git은 오픈소스로 세상에 공개되었다. 무료로 누구나 사용할수 있었고 이를 이용해 상업서비스로 등장한 것이 Github이다. Github는 Git을 보기좋고, 사용하기 좋은 UI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Git을 말할때 우리는 분산 버전관리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이란 뭘까? 단순히 생각해보자. 이는 보다 쉽게 버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할 것이다. 항상 버전관리 시스템을 이야기 하면 나오는 이미지가 있다.
대학시절 시나리오 쓰던 때가 생각난다.. 이런 좋은 기술을 알았다면!!!
위 사진과 같이 최종본을 나타내기 위해 우리는 파일을 클론하여 수정하고 제목에 표기함으로서 버전관리를 해왔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커지고, 협업 인원이 많아짐에 따라 위와 같은 버전관리시스템으로는 수많은 파일을 관리하기엔 무리가 있다. 버전관리시스템에는 크게 로컬/중앙서버/분산 3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그중에서 Git은 분산 버전관리시스템에 속한다. 우리가 분산 버전관리 시스템 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Git을 사용하기위해 알아야 하는 명령어와 용어를 알아보자.
github에 가입이 되어 있다면 쉽게 reoisitory 생성할 수 있다. repository는 말그대로 저장소를 뜻하며 이하 repo라고 하겠다. repo를 생성하고 난뒤 로컬에서 repo와 연동하는 법에 대한 명령어를 알려주는 페이지가 나온다. 위사진의 내용
로컬에서 vscode를 통해 README.md 파일을 생성, 내용을 작성하였다. 이를 깃헙에 올려보자.
내용을 살펴보자
먼저 우리는 서버를 remote origin master, remote repository / 내컴을 local master, local repository 라고도 한다.
vscode에서 연동작업을 마친뒤 github.com에서 repo를 확인하면 위 사진 처럼 README.md파일이 생성되어 반영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초기화하여 repo와 연결하여 관리하는 법을 알아봤다. 위 방법까지는 혼자서 사용할때 주로 사용하며, 협업을 할때는 local master가 아닌 branch를 새로 만든뒤 서버에 push하게 되고, 이후 관리자가 marge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협업을 위한 깃 사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정리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