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nt는 리눅스에서 보조기억장치나 파일 시스템이 다른 디스크를 /의 하위 디렉토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하는 명령어입니다
특정한 옵션 없이 mount 명령을 내리면 현재 마운트된 디스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ount [option] [device] [directory]
unmount는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해제시키는 명령어입니다
파일 시스템의 사용을 마친 뒤 안전하게 분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umount [option] 디바이스명 또는 마운트된 디렉토리명
이동식 보조 기억장치의 미디어를 꺼낼 때 사용합니다
eject 명렁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언마운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eject [장치명 또는 마운트된 디렉토리명]
디스크 파티션을 확인하고 추가/삭제하는 명령으로 설정 후에는 반드시 재부팅해야합니다
fdisk [option] [장치파일명]
새로운 퍄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으로 root만 사용 가능합니다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xt2로 생성됩니다
mkfs [-t fs_type] [option] 장치명
ext2 ~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입니다
유형의 default는 ext2입니다
mke2fs [option] 장치명
xfs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mkfs 명령으로 -t xfs를 지정하면 명령어가 실행됩니다
mkfs.xfs [option] 장치명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수리하는 명령어입니다
fsck명령은 손상된 디렉토리 파일을 수정할 때 임시로 /lost+found 디렉토리에 작업을 수행하고
정상적으로 복구되면 사라집니다
만약 /lost+found 디렉토리에 파일들이 많이 쌓여있다면 깨진 파일이 많다는 뜻입니다
fsck [option] 장치명
리눅스 파일 시스템인 ext2 ~ ext4를 검사하고 수리하는 명렁어입니다
fcsk 명령 실행 시 실제 사용됩니다
e2fsck [option] 장치명
현재 마운트된 디스크의 크기, 사용량, 남아있는 용량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df -i
파일이나 디렉토리 들이 차지하고 있는 크기를 출력합니다
du [option] [FILE(s)]
디스크를 이미지형태로 백업하거나 파일의 포맷 형식을 바꾸는 명령어입니다
텍스트 파일의 대소문자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또한 스왑 파일을 만들거나 디스크를 초기화할 때도 사용합니다
dd if=입력파일 [conv=conversion type] of=출력파일 [bs=] [count=] [skip=]
변경할 파티션 정보를 반영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일반적으로 fdisk와 같은 파티션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티션 정보를 수정하면 재부팅해야 적용합니다
하지만 partprobe 명령을 실행하면 재부팅하지 않고 바로 적용됩니다
일부 시스템에서 반영되지 않는 이슈가 있는데, 반영 여부를 /proc/partitions에서 확인하고,
반영되지 않았다면 재부팅하면 됩니다
partprobe [o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