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운영체제] 리눅스 파일 시스템 - 5부

황제연·2025년 5월 13일
0

CS학습

목록 보기
73/193
post-thumbnail

스왑(Swap)이란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마치 메모리처럼 사용하게 해주는 기술을 스왑이라고 합니다

즉, RAM이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나 SSD의 일부를 할당하여
운영체제가 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단점

스왑을 사용할 경우, 부족한 메모리를 확보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디스크 I/O 속도가 RAM보다 느리기 때문에 스왑 사용률이 커질 수록 시스템이 느려지고
SSD 수명의 단축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스왑 관련 명령어

mkswap

스왑 공간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스왑 파티션이나 스왑 파일을 생성합니다

사용법

mkswap [option] 스왑_파일 [size]
mkswap [option] 스왑_파티션

swapon

스왑 파티션이나 스왑 파일을 활성화하는 명령어입니다
스왑의 상태 확인도 가능합니다

사용법

swapon [option] 스왑_파일
swapon [option] 스왑_파티션

swapoff

활성화된 스왑 파티션이나 스왑 파일을 중지시킵니다

사용법

swapoff [option] 스왑_파일
swapoff [option] 스왑_파티션

free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의 상태를 출력해줍니다
기본적인 정보는 /proc/meminfo 파일에서 가져옵니다

사용법

free [option]

출력 예시

totalusedfreesharedbuff/cacheavailable
Mem7.7G2.3G1.5G230M3.9G5.0G
Swap2.0G0.0G2.0G

항목설명

Mem은 물리적 메모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 total: 전체 메모리양
  • used: 시스템이 사용 중인 전체 메모리 (애플리케이션 + 커널 + buff/cache 포함)
  • free: 사용되지 않고 있는 메모리 양
  • shared: 프로세스간 공유되고 있는 메모리 양
  • buff/cache: 버퍼 및 캐시 메모리로 사용되는 양
  • available: 스왑을 이용하지 않고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양

Swap은 스왑 영역의 메모리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 total: 전체 용량
  • used: 사용중인 스왑 메모리의 양
  • free: 사용되지 않고 있는 스왑 메모리의 양

실제 유휴 메모리 계산법

free 명령을 사용해서 실제 유휴 메모리를 계산할때,
정확한 값을 알고 싶다면 (available=커널이 스왑 없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양)
을 확인하면 됩니다

참고

  • CentOS 7로 이해하는 리눅스 관리 및 시스템 보안 - 도서
profile
Software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