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n은 Unix 계열 운영체제의 시간기반 작업 스케줄러입니다.
작업을 고정된 시간, 날짜,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해 Cron을 사용합니다
Cron은 cronTab 파일에 의해 구동됩니다
crontTab이란?
셀 명령어들이 주어진 일정에 주기적으로 실행하도록 규정해놓은 파일입니다
cron 설정은 /etc/crontab에서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해당 파일에서 실행하려는 프로세스를 옵션을 통해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옵션은 이후 정리하겠습니다
Cron 표현식은 환경에 따라 개수가 다릅니다.
리눅스나 유닉스 환경에서는 5개의 필드만 사용되고, Quartz에서는 7개의 필드가 사용됩니다
이번에는 리눅스/유닉스 환경의 Cron 표현식만 정리했습니다
분 | 시간 | 날짜 | 월 | 요일 |
---|---|---|---|---|
0-59 | 0-23 | 1-31 | 1-12 | 0-6 |
위와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로 아래와 같은 특수문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해당 필드의 모든값 | 사이의 모든 값 | 지정한 모든 값 | 특정 주기를 나눌 때 사용함 |
위 표현방식에 따라 Cron 표현식을 세웠을 때, 어떻게 해석되는지 상황별로 정리했습니다
* * * * *
1분마다 실행합니다
*/10 * * * *
10분마다 실행합니다
* 1-3 * * *
1~3시 동안 1분마다 실행합니다
30 0 * * * *
매일 0시 30분에 실행합니다
* 1,3 * * *
매일 1시, 3시동안 매분 실행합니다
Cron에 대한 개념과 Cron 표현식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이번에 다룬 Cron 표현식은 리눅스/유닉스 환경에서 사용하는 사례로 5개의 필드로 구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