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 MySQL 8.0] MySQL 소개

엄혜영·2024년 7월 18일
1

Real MySQL 8.0

목록 보기
1/9
post-thumbnail

현재 참여중인 부트캠프의 수강생님께서 스터디를 제안해주셔서 위의 책을 가지고 MySQL 스터디를 하게 되었다.

학교에서 MySQL을 배우긴 했으나, 현재 알고있는 수준은 DDL, DML 정도이고

특히 최근에 MySQL의 설정 파일을 변경하려 했으나 잘 되지 않는 이슈가 있어 아쉬움이 있었다.

이번 기회에 해당 책을 공부함으로써 MySQL이라는 툴을 더 깊이 이해하는 기회가 될것같아 기쁘다😄😄


MySQL 소개

현재 MySQL의 라이선스 정책은 ‘MySQL 엔터프라이즈 에디션’과 ‘MySQL 커뮤니티 에디션’ 두 가지이다.

엔터프라이즈 에디션과 커뮤니티 에디션의 차이는 얼마나 자주 패치 버전이 릴리스 되느냐와 커뮤니티 에디션은 소스코드가 공개된 상태인 점이 다르다.

Why MySQL?

MySQL의 경쟁력은 가격이나 비용일 것이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오라클 RDBMS는 너무 비싸다.

사람들은 “어떤 DBMS를 사용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어떤 DBMS가 좋은가요?”와 같은 질문 많이 하는데, 해당 책에서는 “자기가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DBMS가 가장 좋은 DBMS입니다” 라고 답변했다.

이 외의 조건을 따져보고싶다면 아래 순서로 고려 하라고 조언하였다.

  1. 안정성
  2. 성능과 기능
  3. 커뮤니티나 인지도

이미지 출처: https://db-engines.com/en/ranking

위의 표는 DB-Engines.com 에서 제공하는 24년 7월 DBMS 서버의 랭킹이다.

해당 사이트에서 순위를 만들기 위해 점수를 부여할 때 사용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웹 사이트 언급 횟수
  • 검색 빈도
  • 기술 토론 빈도
  • DBMS별 구인
  • 전문가 인맥

안정성과 성능, 그리고 기능은 점수 부여 기준이 아니다.

DB-Engines.com에서 점수 산정의 기준은 DBMS별 활용도에 집중하고 있는데, 안정성과 성능, 그리고 기능은 직접적으로 점수 부여 기준에 들어가지는 않지만 결국 이런 활용도의 중심에는 DBMS의 안정성과 기능, 성능이 모두 포함돼 있기 때문에 점수 산정의 기준을 위와 같이 잡았을 것이다.

따라서 위의 표를 참고하면 MySQL 서버는 충분히 좋은 선택지임을 알 수 있다.

profile
누워있는게 좋은 완벽주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