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_실무에서 활용하는 Amplitude차트와 활용 방법
주 사용자의 활동(event)를 바탕으로, 이벤트 속성값과 사용자 속성값 등을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고객 경험과 고객 여정을 계속적으로 트래킹하고, 고객 활동(event)별로 그 속성과 유저의 속성을 전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이벤트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저별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개발언어를 몰라도, 직관적으로 쉽게 여러 사람들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습니다.
단점 : 유저 행동에 대한 이벤트 로그를 남겨야 하기 때문에 초기 셋팅 리소스가 많이 들어가며,
코호트 분석 기능 등 유료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 3,000만원 가량의 고비용이 발생합니다.
특징 : 다른 유저데이터 분석 툴인 GA가 웹사이트 관리에 특화됨과 달리
Amplitude는 앱과 웹 모두 분석이 가능합니다.
이벤트별 & 사용자별 지표 확인
: 세그먼트
란, 특정 행동을 공유하는 사용자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사용자 집단의 행동(event)별, 사용자 유저별 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고자 하는 사용자 집단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만들어서, 활동(event)를 분석합니다.
단계별 이탈율과 정착율 확인
: 퍼널
이란, 특정 목표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자의 행동 루트를, 단계별로 쪼개서 살펴보는 과정입니다.
설계된 각 서비스 루트별 사용자가 목표 지점에 도착하는지 확인함으로서, 단계별 이탈율을 파악 및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제품 이용 주기에 따른 유지율 확인
: 리텐션
이란, 사용자가 이탈하지 않고, 계속해서 제품을 구매/이용/구독/포스팅 하는 등의 행동 유지를 의미합니다.
리텐션율(retention rate)
란, 제품 이용 주기에 따른 고객 유지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는 주1회 시청 , 에어비엔비는 년1회 이용 등으로 주기를 예상할수 있습니다.
고객여정(user journey)중, 어느 시점에서 혹은 어떤 행동시 이탈하지 않고 제품에 잘 정착/유지하는지 찾을 때 사용합니다.
만약 1000명 유저 중, 월 리텐션율이 60%라면 1월 1000명 -> 2월 600명 -> 3월 360명 등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어떤 특성을 가진 사용자가 어떤 기능을 주로 이용하는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