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패러다임 변화

‍이세현·2024년 10월 8일
1

패러다임과 최초의 자동차

패러다임

  • 미국 과학역사학자 토마스 쿤이 제시한 개념
    • 하나의 시대를 움직이는 사상이나 가치, 원리 등
  • 100년 간의 자동차의 패러다임 변화
    • 독일에서 발명
    • 프랑스에서 실용화
    • 영국에서 실용화 기술 발전
    • 미국에서 대량 생산
    • 아시아에 전파 및 발전
    • 아프리카까지 발전

바퀴의 발명

  • 기원전 바퀴의 발명, 자체적인 동력 장착을 시도했으나 완성에 실패했다.
    • 얇은 나무 여러 개
    • 두꺼운 나무
      • 무거워서 구멍을 뚫은 게 바퀴 살로 발전함
    • 바퀴의 등장
      • 테두리(Rim), 바퀴살(Spoke), 바퀴통(중앙 허브)으로 구성
  • 시대에 따라 여러 개의 바퀴살(8, 12, 32개)을 가진 형태로 발전
  • Horseless Carriages
    • 레오라드로 다빈치의 태엽자동차
    • 완성되지 못함

마차 시대

  • 16세기 풍력 자동차 등 동물의 힘을 빌리지 않는 자동차가 시도되었으나 실용화 실패
  • 18세기 증기자동차
    • 물이 끓어야 출발 가능하다.
    • 크고 무거워 비효율적이다.

19세기 말 자동차의 발명

  • 1886년 독일, 인류 최초의 가솔린 자동차 발명

    • 칼 벤츠와 고틀리프 다임러
    • 가솔린 기관 최초 특허를 낸 벤츠를 최초의 자동차 제작자로 말한다.
    • 공통점: 좌석 밑에 달린 엔진과 마차 구조
    벤츠의 1호차다임러의 1호차
    자전거 부품을 이용한 3륜 자동차마차를 이용한 4륜 자동차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의 자동차

  • 프랑스를 중심으로 자동차의 실용화 기술 개발
    • 파나르 르바소의 시스템 파나르
      • 역사상 최초의 FR 방식 차량
      • 최초로 마차에서 자동차로 바뀐 자동차
  • 미국 중심의 대량생산 기술 개발 진행
    • 올즈모빌 커브드 대시
      • 미국 최초의 대량생산 차량

20세기 초 미국의 자동차 산업화

  • 미국은 자동차 제작의 규격화에 의한 산업화에 주력하였다.
  • 대량생산 방식 채택으로 고급품보다는 간결한 구조의 대중적인 차량에 더 중점을 두었다.
  •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
    • 헨리 포드가 미국에서 자동차 회사 설립(1903)
    • 모델 T 개발(1908)
    • 대량생산 시작(1911)
      • 초기 모델은 마차를 가지고 만들어 오픈카 구조
      • 검정색 차는 빠른 건조로 생산이 빠르고 옵션이 없어 가격이 낮고 대중적이다.
      • 만들기 쉬운 철제 지붕
    • 생산량 최고조(1500만 대)(1921)
      • 포드는 모델 T를 통해 대량생산 방식을 체계화 하였다.

20세기 초 유럽의 공예적 자동차

  • 유럽은 공예 전통으로 대중성 보다는 호화, 고급품 개발에 주력하였다.

    • 공예적인 생산 방식을 유지하며 고급화 또는 고성능화 된 차량으로 소량 생산 체제 유지
    롤스로이스 실버 고스트부가티 로얄시트로앵 트락송 아방
    은빛의 크고 호화로운 차현재 4대만 존재, 기술적으로 앞선 차최초의 앞바퀴 굴림 차량
    수공업적인 방법으로 소량 제작알루미늄 휠, 길이 6.4m의 호화로운 차

1930년대 미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

  •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
    • 20세기 전반기 미국의 자동차 산업에서 대량생산 방식이 완전 정착
    • 금형기술의 발달 및 규격화된 대량생산, 대중적인 보급으로 산업의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 GM의 알프레드 슬로언은 대량생산 방식 체계화하여 다양한 디자인, 다양한 스타일의 차를 생산했다.
  • 뷰익 Y-Job
    • 판매하지 않는 최초의 콘셉트 카
    • 미국, 자동차 디자인의 다양화 시작

2차 대전과 1940년대 유럽의 기술 개발 둔화

  • 자동차의 본질적인 기술을 충실히 하는 쪽으로 발전
    • 독일의 국민차 KDF, 재규어 MK V
  • 2차 세계대전으로 유럽은 자동차의 본질적인 기술 발전 둔화
    • 유럽은 전쟁 피해로 차량 개발 지연
    • 독일은 군용 장갑차 개발(쉬빔바겐, 퀴벨바겐)
      • 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자 비틀을 군용차로 개발
    • 종전 후 소형차량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 2차 대전을 계기로 미국과 독일의 기술적 발전 가속화
    • 미국은 전쟁에 사용하기 위해 사륜구동 차량 지프 개발

유럽의 공예방식과 미국의 대량생산

전후 유럽 자동차 기술의 발전

  • 세계 대전 이후 소형화, 고성능 및 신기술 개발

    • 1950년대 유럽 차들의 양극화

    • Mercedes Benz 300SL

      • 엔진을 탑재한 후드 두개의 blister는 엔진과 유선형 차체의 간섭을 줄이는 기능적 요소와 미적 요소가 결합된 디자인
      • 후드를 낮추기 위해 엔진을 약 45도 옆으로 기울였다.
      • 스페이스 프레임: 기둥 없는 트러스트 구조로 가볍고 튼튼해 문턱이 높아진다.
      • 지붕이 열리는 gulling door 적용
      • 기술적 제약조건을 디자인적으로 승화
      고성능소형화
      벤츠 300SL: 독일 자동차 기술의 진수Fiat 500
      포르쉐 550: 최초 300km 도달Austin Mini
      고급 브랜드 차량앞바퀴 굴림, 공간 중심, 절약 개념의 소형차

전후 미국의 자동차의 장식적 디자인

  • 전승국인 미국은 자동차의 대형화, 고급화, 장식적 디자인 경향이 드러난다.
    • 50년대 유럽은 기술적 고성능
    • 50년대 미국은 장식적 고성능
  • 세계대전 이후 미국 자동차의 대형화와 스타일의 장식 성향 증가
    • 테일핀, 앞쪽 후드 강조, 높음, 길고 직선적

1960년대 유럽 자동차

  • 유럽 자동차의 고성능화 및 디자인 다양화로 성장 가속
    • 기술과 디자인이 함께 발전된다.
    • 유럽은 1960년대에 자동차 경주의 활성화로 차량의 고성능화, 고기능화가 진전되었다.
  • 좀 더 앞선 디자인을 내놓은 프랑스
    • 유리로 둘러싸인 차체
  • 이탈리아 고성능 자동차, 슈퍼카 등장
    • 이탈리아에서는 구성능과 우아한 디자인을 양립시킨 슈퍼카가 처음 등장하였다.
    • 포르쉐 356, 페라리 250, 람보르기니 미우라 쿠페

1960년대 미국 자동차

  • 스타일 다양화 및 차종 다양화, 대형화 지속
    • 미국은 1960년대 세계 경제의 대국으로 성장하며 자동차의 고성능화, 초대형화가 진행되었다.
  • 1950년대의 장식적 스타일에서 다소 정리된 스타일로 변화되었다.
  • 대학생을 위한 첫 차 Ford Mustang
    • 당시 일반적으로 큰 16기통이었으나 머스탱은 8기통의 소형차
    • 젊은이들을 위한 차라는 콘셉트로 큰 인기
  • 오랜 역사를 가진 아메리칸 아이콘 Chevy Camera
    • 머스탱과 치열하게 경쟁하며 젊은이들을 위한 차 생산
  • 대형 고급 차 또한 발전

1960년대 일본의 자동차

  • 일본 자동차 산업의 성장
    • 일본은 1930년대 자동차 산업이 자생적으로 발전한다.
    • 2차대전 패전 후 복구와 한국 전쟁에 의한 성장
      • 패전 이후 미국에 원조 요청하여 도요타 키이치로와 다이이치 오노가 포드의 대량생산 방식 연구
      • 이후 간판 방식이라는 일본에 맞는 생산 방식 개발
      • 일본의 색채를 가진 자동차 개발 후 7080년대 세계적 자동차 산업 국가로 발전
    • 경제형 차량 개발로 기술이 축적되어 세계 시장에 등장하였다.
  • 도요타 최초의 AA 모델(1936)
  • 일본 최초의 본격 스포츠카 등장
    • Toyota 2300GT
    • 유럽에 수출할 수 있는 스포츠카
  • Toyota에서는 보급형 차도 등장하였다.

오일쇼크와 1970년대 유럽의 자동차

  • 슈퍼카 개발봐 함께 디자인적으로 큰 발전
  • 오일쇼크(1971, 1979)로 1970년대 유럽의 자동차 에어로 디자인 개념 도입
    • 유럽은 1970년대의 오일쇼크를 계기로 고성능에서 효율성과 공기역학 연구에 착수했다.
      공기저항 연구1972 피닌파리나 풍동 설비
    • 풍동 설비
      • 풍동을 통해 공기저항을 실험하여 효율적인 차를 만들었다.
      • 자동차 메이커들이 풍동설비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체제가 구축되었다.
  • 전위적 스타일
    • 이탈리아 람보르기니 쿤타치
      • 슈퍼카 개발과 함께 디자인적으로 큰 발전

오일쇼크와 1970년대 미국의 자동차

  • 대형 승용차 중심의 미국 자동차 산업
    • 오일쇼크(1971, 1978)
      • 중동의 정치적 불안에 의한 오일 수급의 불균형 떄문에 발생
      • 기름값 폭등
    • 대형차 수요 감소로 미국 자동차 메이커가 어려움에 처한다.
  • 유럽 포드의 소형 승용차 Ford Fiesta 미국 시판
    • 소형차가 없었떤 크라이슬러는 큰 어려움에 처한다.

1970년대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 오일쇼크로 일본 자동차 산업의 급성장과 세계 진출
    • 1970년대 오일쇼크로 소형 승용차 중심의 일본 승용차가 세계 시장에서 크게 주목
    • 소형 엔진을 가진 내구성 있고 효율 좋은 차로 미국 시장에서 주목 받음
  • 한국 고유 모델 개발로 한국 자동차 산업 성장의 시초가 되었다.
    • 1970년 세계에서 일곱번쨰로 고유 모델 개발하고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다.
    • 현대 Pony Coupe, Pony
  • 아시아에서 자동차 산업이 발전되는 시기

1980년대 유럽 자동차

  • 자동차 메이커 별로 특성이 정착되고 기술이 고도화 되었다.
    • 유럽은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고성능과 안전, 고급브랜드의 아이덴티티와 기술을 정착한다.
    • 가장 유럽적인 기술과 디자인의 차가 등장한다.
    • 유럽 자동차 기술의 정수

1980년대 미국 자동차

  • 실용성 추구에 의한 기능성 차량 출현과 에어로 디자인 개념 도입
    • 크라이슬러는 아이아코카를 영입
    • 실용성을 중시하여 2400cc 엔진을 얹은 미니밴 출시로 크라이슬러가 부활한다.
    • 공기역학 연구로 차체 스타일의 변혁기 도래
  • 가장 미국적인 차로 불리는 사륜구동 SUV 등장
    • AMC Cherokee
    • SUV: Sport Utility Vehicle
    • SUV가 가장 미국적인 자동차로 발전한다.
  • 공기역학 연구
    • 미국 차들도 기술적, 디자인적으로 크게 변화되기 시작한다.
    • Ford의 공기역한 연구 프로토타입 Prove V
      • 양산차에 응용된 것이 Ford Taurus

1980년대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 자동차 산업이 크게 발전하기 시작
  • 일본 럭셔리 브랜드 출시
    • 품질 향상으로일본 자동차의 영향력은 크게 성장하고 세계시장에서 주목받는다.
    • 일본산 고급 승용차 렉서스가 미국에서 판매되기 시작한다.
  •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술 개발과 수출 증가
    •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고유 모델의 지속적 개발
    • 미국 수출 및 세계 시장 수출 확대, 기술 축적
    • 현대자동차 스텔라(1983)
    • 현대자동차 엑셀(전륜)
    • 현대자동차 쏘나타(1988)

1990년대 유럽 자동차의 발전

  • 자동차 메이커의 인수와 합병 시작, 메이커의 국적성 파괴
    • 전통과 문화의 아이덴티티 강화
    • 기술 차별화
    • 거대 기업의 군소 브랜드 인수합병 시작
  • 보다 방향을 명확하게 하여 기술적 특징 정착
    • 볼보: 안전한 차의 대명사
    • 사브: 항공기 기술을 응용한 고급 승용차
    • 벤츠: 가장 긴 역사에 가장 고급 승용차를 만드는 메이커

2차 대전 이후부터 자율주행 차량의 발전

1990년대 미국의 자동차

  • 미국의 자동차 산업의 거대화, 유럽 브랜드에 합병
    • SUV, 미니밴 아이덴티티 강화, 대체에너지기술 개발, 유럽 메이커 인수합병의 시작
  •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 최초의 전기차 GM EV-1 등장
      • 8시간 충전하여 3시간 탑승 가능
      •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 제시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 소리와 배기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 SUV, 중형차 등에 가장 미국적 기술을 넣은 디자인
    • 소형 엔진과 신기술 적용
    • 베스트 셀링 카 Ford Taurus
    • Grand Cherokee

1990년대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 독자적인 디자인 구축을 시작한 일본
    • J-factor, 감정 디자인
    • 감성적이고 부드러운 디자인
    • 고감성화와 고성능화
      • 일본 자동차의 감성 품질, 성능 향상으로 세계적 영향력과 평판
  • 고유모델 개발 및 차종 다양화 시작한 한국
    • 기아, 대우 등의 메이커에서도 고유 모델 개발
    • 내수시장 확대 및 세계 시장 수출 확대, 구조조정
    • 현대에서 최초 대형 고급 승용차 등장
      • Equus
    • 완전히 독자적인 기술로 발전되지는 않은 상태
    • 디자인은 유럽의 디자인 스튜디오의 도움을 받아 개발
    • 기술 축적은 이루어져 잠재력을 계속 상승 중

2000년대의 유럽 자동차

  • 가장 유럽적인 자동차들로 발전하기 시작
    • 롤스로이스 Pahntom
      • 수작업으로 제작된 길이 6m의 최고급 세단
    • 최고급 모델, 고성능 모델
    • 장인정신이 결합된 수공업적인 기술 바탕의 정교함과 성능
  • 유럽 브랜드의 럭셔리화, 하드웨어 기술의 공유
    • 전통과 문화의 아이덴티티 강화, 기술 차별화
    • 거대 기업의 군소 브랜드 입수합병 마무리로 국적성이 사라졌다.
      • 영국의 롤스로이스를 독일의 BMW가 소유한다.
      • 차의 브랜드는 롤스로이스가 소유하지만 내부 엔진, 변속기 등의 하드웨어는 독일 기술로 이루어진다.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나눠지는 패러다임 등장
      • 디자인 더욱 강조

2000년대 미국의 자동차

  • 빅3(GM, 포드, 크라이슬러)가 각각의 개성을 가지고 발전
    • 크라이슬러와 벤츠의 합병으로 Daimler Chrysler 등장
      • 미국 크라이슬러의 대중성과 독일 벤츠의 고급스러움이 만나 큰 시너지 효과 예측
    • GM은 연료전지 등 신기술을 개발하여 석유 고갈에 대비한 전기차 개발
    • 60년대 나왔던 쉐비 카메로가 2000년대 새로운 디자인으로 등장
  • 미국의 자동차 메이커의 워크아웃, 연료전지 개발
    • 연로전지 기술 개발
    • 미국적 특성을 가진 차량 개발
    • 인수합병의 재편

2000년대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

  • 고 감성화 하이브리드 기술을 개발한 일본
    • 토요타 프리우스 1세대
    • 전기모터와 가솔린 엔진이 결합된 모습
    • 하이브리드는 일본 자동차 메이커들이 내세울 수 있는 기술 중 하나가 되었다.
    • 일본 자동차의 감성 품질, 성능 향상으로 세계적 영향력과 평판
    • 닛산 GT-R
      • 일본 고성능 차의 상징(포르쉐를 앞선 랩타임 달성)
  • 2000년대 한국 자동차 산업의 성숙과 기술 자립
    • 고유모델 개발 및 차종 다양화로 내수시장 확대 및 세계 시장 수출 확대
    • 기술 자립
      • 메이커 특생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2010년대 자동차의 변화

  • 인도, 중국, 아프리카 등에서 신흥 자동차 메이커 등장
    • 인도 Tata 나노
      • 경승용차 작은 배기량 360cc의 소형 차
      • 혁신적이나 빈약한 구조
      • 문이 4개 달린 5인승, 250만 원
      • 트렁크 아래쪽에 엔진
      • 추구 방향이 다른 차
    • 중국의 다국적 기업 코로스
      • 중국의 체리 자동차와 이스라엘 계 자본 각 50%씩 투자
      • 엔지니어나 디자이너는 전부 유럽 사람
    • Tesla 전기차량 모델 S 등장
      • 기존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전기차(미국 EV-1 대비)
      • 자동차 기술의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상징
    • 2014년도, 아프리카 케냐에 처음으로 자동차 회사 모비우스 탄생
  • 자동차의 기술 성격 변화
    • 21세기부터 급격히 시작된 전기, 전자 기술 도입으로 자동차의 성격 변화

2020년대 이후의 디자인 방향

  • 2020년대 이후 자동차가 어떻게 바뀔 것인가
    • 자기가 원하는 차룰 탈 수 있다는 관점에서 선택지를 다양하게 가지는 방향
  • 신기술에 의한 차량 성격 변화, 신흥 메이커 등장으로 특성의 다극화
    • 역사와 문화, 전통, 감성, 스타일 등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의 디자인 증요성이 증대된다.
  • 자율주행차량
    • 자동차를 쓰는 방법을 다양하게 해주는 모습
  • 전기차
    • 충전과 주행거리 한계
      • 수요자들을 만족시키는 좋은 다양한 전기차
      • 새로운 디자인을 가진 전기차
    • No 배기가스, No 소음
    • 대부분 중국의 자본
  • 2020년대를 향하는 자동차 디자인 패러다임
    • 다양한 신기술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모습의 자동차들을 선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
    • 정보의 cloud 속에서 Connected에 의한 차량의 변화

요약

profile
Hi, there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