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일한 인자에 대해 항상 동일한 값을 반환합니다. 즉, 함수가 수행될 때 인자값 외에 다른 외부 상태나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2\. 함수가 수행되는 동안 인자나 외부 상태를 변경하지 않습니다. 즉, 함수가 호출되면 인자값을 받아 연산을 수행하고
axios라이브러리와 fetch API의 차이를 다시 체크해보기 위해 알아보다가.json()메서드와 JSON.parse()메서드 차이가 뭘까라는 의문에 이르렀습니다.axio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통신이 이루어질 때, JavaScript객체와 JSON간에 인코딩, 디코딩
Next.js가 React Project의 SSR을 가능하게 한다. 어떤 방식으로 SSR을 가능하게 할까? 먼저 알아야 할 것은 Next js의 구동방식 이라고 생각한다.Server Side최초에 Next 서버로 요청이 들어왔을 때, Next 서버에서는 요청이 들어온
스택(stack)이란 쌓아 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택 자료구조라는 것은 책을 쌓는 것처럼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형태의 자료구조를 말한다.스택은 같은 구조와 크기의 자료를 정해진 방향으로만 쌓을수 있고, top으로 정한 곳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top에는
JavaScript에서 try, catch문은 런타임 오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문입니다.try 블록에는 실행시킬 로직을 작성하고 catch 블록에서는 오류가 발생할 경우 실행될 코드를 작성합니다.다음은 JavaScript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
CORS 개념에 대해 찾아보던 중에 오리진이라는 용어가 자주 보여 해당 용어에 대해 정리해보았다.출처라는 뜻이지만, 웹에서 Origin은 => Protocol + HostName + Port, 3가지를 합친 개념이다. 다른분의 블로그에서 직관적으로 잘 이해가능하도록 설
<기존 생각>var 선언문이 해당 scope 최상단에 있는 것처럼 실행되는 현상. var 로 변수나 함수 호출이 var로 변수 선언 보다 윗줄에 있어도 에러없이 코드가 동작하는 이유입니다.<수정>JavaScript에서 호이스팅(hoisting)이란, 인터프리
HTTP(HyperText Tranfer Protocol)문자 그대로, HTML문서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신규약.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HTTP에서 Secure Socket Layer가
HTTP, TCP/IP 개념이 익숙치 않아서 구글링 하던중, OSI 7계층 얘기가 많이 나오길래, 이게 뭔가해서 찾아 봤다.중요한 것 같아 보여, 정리해 둔다.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모델의 표준OSI 7계층은 응용, 표현, 세션,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계층
Axios vs fetchaxios써드파티 라이브러리, 설치가 필요data 속성을 사용data는 object를 포함한다.status가 200이고 statusText가 'OK'면 성공자동으로 응답을 JSON으로 변환한다. --> JSON.stringify() 필요 없음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불변성관리를 알아보았다.처음에 배울 때는 배열의 요소를 수정하거나 객체의 프로퍼티를 수정할 때, 기존에 변수를 건드리지 않고 spread연산자와 다른 state값을 사용해서 불변성 관리를 하면 되는 것인줄 알았다.불변성이란 : “단순히 변수를 재할당하
렌더링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 못한 것 같아서 이번 기회에 찾아봤다.렌더링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parsing > style > layout/reflow > painting > composite단계별로 정리를 해보자면,parsing : HTML파일과 CSS파일을 파싱해
컴포넌트 내에 복잡한 계산을 하는 함수가 있을 때, useMemo를 사용하여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어도 종속변수, 의존성배열이 변하지 않는 한, 호출되지 않게 한다.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props를 전달할 때, React.memo를 사용하여, props가 바
먼저 DOM(Document Object Model)에 대한 개념부터 알아봤다.웹을 이루는 HTML태그들을 자바스크립트가 이용할 수 있도록 웹브라우저가 트리구조로 만든 객체모델이라고 한다.HTML/CSS <--> DOM <--> JavaScript windo
addEventListener() 웹API는 특정 이벤트 발생시, 동적 기능 추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 기능이다.그런데, 웹브라우저는 어떻게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지와 관련하여, 2가지 방식이 있다고한다.Event Bubbling : 해당 화면 요소에 이벤트 발생시
아쉬운 점: git flow에 대해 잘 몰라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특히나 Component 별로 나누어서 다른 사람이 맡은 Component는 서로 건드리면 안되는데, 작업하다보니 실수로 건드려서 서로 충돌이 나거나, 기능구현 상 다른 사람의 Component에 무언
리덕스에서 미들웨어 청크의 역할은 뭘까요?프로미스는 정확히 말하면 비동기가 아닙니다. 비동기와 프로미스는 각각 무엇일까요?TDZ(Temporal Dead Zone/일시적 사각지대)란?
React Hooks란?React 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Class를 이용한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이,state와, 여러 React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라이브러리React Hook 개발 과정클래스 컴포넌트 사용\-- 2019년 2월 데이터 캐시 개발 --함수